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그린뉴딜 건축물 활성화 방안과 스마트그리드기술·정책 실태분석 양장

기본 정보
필자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지음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페이지 604쪽 A4 판형
출판년도 2020년 09월 21일 출간
판매가 ₩342,000원
시중가격 ₩380,000원
상품코드 P0000BAG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ISBN 9791158621537(1158621531)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그린뉴딜 건축물 활성화 방안과 스마트그리드기술·정책 실태분석 양장
필자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지음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페이지 604쪽 A4 판형
출판년도 2020년 09월 21일 출간
판매가 ₩342,000원
시중가격 ₩380,000원
상품코드 P0000BAG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ISBN 9791158621537(1158621531)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7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상담문의는 당사 문의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본서의 특징

최근 디지털뉴딜 중심의 한국판뉴딜을 발표한 정부는 그린뉴딜을 한국판뉴딜의 핵심 축으로 설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린뉴딜이 최근 한국판뉴딜에 포함되면서 건축부문에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린 뉴딜의 목표로 국가의 에너지 그리드 및 건축물, 교통 인프라 구축, 에너지 효율 증대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이산화탄소(CO2) 배출 증가량이 1위인 반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최하위에 그쳐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산업 육성이 절실했던 상황이다. 건축부문에서는 그린리모델링이 그린뉴딜의 핵심으로 제기되면서 녹색 인프라 전환 사업에 2025년까지 총사업비 30조1000억원을 투입해, 38만7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이와 더불어 공공건축물을 친환경적으로 리모델링하고 체육센터 등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을 고효율에너지 시설로 전환할 것이다. 이와 같은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에는 전기와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 전력망을 고도화해 고품질의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소비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환경 영향까지 고려하는 스마트그리드에 있다. 즉,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해 에너지생산과 소비 효율을 높이는 전력체계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계량기(AMI),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이 스마트그리드의 큰 축을 맡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그린 리모델링/스마트그리드 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신기술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여 「그린뉴딜 건축물 활성화 방안과 스마트그리드기술·정책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 1편에서는 그린 뉴딜 분야의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을 수록하였으며, 제 2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현황과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 수요자원 산업 정책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Ⅰ편 그린리모델링 산업
제1장 그린뉴딜 산업정책 활성화 방안
1. 그린 뉴딜 경제 추진과 적용방안
1) 디지털·그린 경제 추진방향
(1)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전환 필요성
가. 디지털·그린 경제의 개념
나.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전환 필요성
(2) ‘디지털·그린 경제’와 ‘스마트 시티’ 인프라
가. 문제 제기
나. 디지털·그린 경제의 기술적 토대와 스마트 인프라
(3) ‘한국판 뉴딜’ 정책의 바람직한 추진 방향
가. ‘한국판 뉴딜’ 정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
나. ‘한국판 뉴딜’ 정책의 한계점 진단
⒜ 공공 주도의 정보통신 인프라 물량 공급 정책
⒝ 체계적인 스마트 인프라 투자 전략 부재
⒞ 신산업 및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의 제한적 효과
다. ‘한국판 뉴딜’ 정책의 바람직한 추진 방향 모색
⒜ 수요자 중심의 전략적 투자로 전환
⒝ 스마트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재구조화
⒞ 스마트시티 사업의 확대 추진
2) 그린 뉴딜 한국사회 적용 현황
(1) 다시 부상한 미국의 그린 뉴딜
(2) 한국사회 그린 뉴딜의 필요성
(3) 오바마와 이명박 정부 그린 뉴딜 비교
가. 오바마 정부의 그린 뉴딜 주요 내용과 성과
나.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주요 내용과 성과
다. 오바마 정부의 그린 뉴딜과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비교
(4) 한국사회 그린 뉴딜 적용 방안
가. 그린 뉴딜 담론과 지지세력 확보
⒜ 한국 사회 그린 뉴딜 담론 형성
⒝ 그린 뉴딜 - 다양한 논의 주체가 상향식 방식으로 논의
나. 그린 뉴딜 정책 적용 방안
다. 그린 뉴딜 정책 추진전략
2. 그린뉴딜 정책과 활성화 방안
1) 그린뉴딜 정책 방향
(1)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가.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나. 국토ㆍ해양ㆍ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 체계 구축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2)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가. 에너지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나.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다.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3)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가.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녹색산단 조성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나. R&D·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 프로젝트 개요
⒝ 주요 투자사업 및 제도개선 과제
2) 그린뉴딜 주요 정책 활성화 방안
(1) 수소/전기차?미래 모빌리티
가. 수소차 헤게모니 쟁탈전의 시작
나. 수소차의 심장, 연료전지스택
(2)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
(3) 그린뉴딜이 전력시장에 미칠 영향
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와 후폭풍
나. 그린뉴딜의 필요성
다. 그린뉴딜이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미칠 영향
(4) 자동차의 미래는 전장화
3. 그린뉴딜 주요 사업과 그린투자 현황
1) 그린뉴딜 주요사업 현황
(1)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가. 2025년 보급 목표
나. 그린 모빌리티 보급 전략
⒜ 미래차 대중화 기반 조성
⒝ 노후 경유차 제로화
(2) 스마트 그린도시
가. 과제 개요
나. 추진계획(안) ('20.하~'22)
(3)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체계 구축
가. 과제 개요
나. 추진계획
(4) 국토생태계 녹색복원
가. 과제 개요
나. 추진계획
(5) 녹색산업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가. 과제 개요
나. 추진계획 ('20.하~'21.상)
2) 그린투자 기술과 산업 현황
(1) 태울 수 없는 탄소와 좌초자산의 발생
(2) TCFD
(3) 자본시장의 영향
(4) 신재생 에너지, 슈퍼 사이클 진입
(5) ESG 투자
(6) RE100
제2장 제로에너지건축물 산업정책 현황
1.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 산업과 정책
1)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 산업 현황
(1) 정의 및 개념
(2) 시장 현황
가. 2030년의 한국
나. 빌딩, 에너지 먹는 하마 대변화 필요
다. 제로에너지빌딩
(3)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가. 제로에너지빌딩의 목표 달성과정
나. 로드맵을 통해 본 세계 각국의 제로에너지빌딩 목표
다. 2025년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추구하는 한국
라. 건물에너지 효율 기준, 제로에너지빌딩 활성화를 위한 채찍
마. 인센티브, 제로에너지빌딩 활성화를 위한 당근
(4) 새로운 패러다임 동향
가. 빌딩, 에너지를 사고파는 공간
나. 건설업체, 새로운 고부가가치 시장이 열린다
(5) 제로에너지빌딩 시대 대비 전략
가. 의무화에 따라 강화될 제도 수준에 맞는 건설기술 개발 필요
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융복합된 개념의 기술개발 필요
다. 건물주는 건물을 새로운 가치창출의 수단
2) 제로에너지건축 정책동향
(1) 정책 배경
(2) 활성화 정책동향
가. 우리나라
나. 해외
(3) 국내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시행
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기준
나.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 주요 내용
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시범사업 현황
라. 고층형 공동주택 시범사업 에너지성능 예측
⒜ 전기에너지 요금 예측
⒝ 난방에너지 및 세대 전체 에너지성능 예측
⒞ 신재생에너지 설비 유지관리 비용
(4) 제로에너지건축 보급 확산 방안
가. 단계적 의무화 로드맵 개편
나.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 맞춤형 확산 추진
다. 지구·도시단위로 제로에너지 확산
2. 서울시, 제로에너지건물 핵심전략과 정책수단
1) 제로에너지건물, 서울시 온실가스 감축 ‘핵심 전략’
(1) 기존건물 제로에너지건물로 전환 사업 필요
가. 온실가스 배출량 12년새 5.6% 감소 적극적 대책 필요
나. 기존 건물 제로에너지건물로 전환 전략이 매우 중요
(2) 서울시 온실가스 68%, 에너지소비 63% 건물에 원인
가. 서울시 건물은 2018년 기준 주거용이 75% 차지
나. 서울시 노후 건물 면적은 전국 지자체 중 1위
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75%는 건물부문에서 발생
라. 건물부문, 서울시 에너지소비량 63% 차지
2) 제로에너지건물 도입 위한 정책수단 현황
(1) 건물에너지 효율 높이는 국내외 정책수단
(2) 해외
가. 미국 뉴욕
나. 영국
다. 독일
라. 프랑스
(3) 국내
가. 중앙정부
⒜ 그린리모델링 지원 사업
⒝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사업 지원
⒞ 에너지효율향상의무제도
⒟ 에너지다소비사업장 에너지사용량 신고제도/에너지 진단 의무화
나. 건물에너지 효율화 융자·집수리 보조사업 진행
3) 제로에너지건물 리모델링 활성화
(1) 제로에너지건물 보급 확대는 ‘건물 그린 뉴딜’로 달성
(2) 공공건물 그린 뉴딜
가. 제로에너지건물 리모델링 시장 확대·기술 개발에 효과
나. 중대형·노유자시설 대상 수용성·확산효과 제고
(3) 민간건물 그린 뉴딜
가. 중대형 기존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하고 지방자치단체에 권한 부여
나. 부동산 거래 시 에너지평가서 공개 의무화하고 최저에너지 성능기준 도입
다. 융자 등 금융지원 강화, 사업모델 개발
라. ‘건물에너지 효율화 지원센터’설립
3. 제로에너지건축 상용화와 녹색건축 산업 현황
1) 제로에너지건축의 상용화
(1)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이해와 기술현황
가. 제로에너지건축물은 첨단건축기술 집합체
나. 프로슈머(Prosumer) 개념
다. 국내 제로에너지 건물 시장규모 및 전망
(2)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제 개요 및 추진현황
(3)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추진방향
2) 녹색건축 산업의 미래이슈
(1) 건축 산업구조의 변화
가. 스마트시티
나. 도시와 건축, 보행
다. 시공 모듈화 및 자동화
라. 주거형태의 변화
(2) 건축물 에너지 컨설팅 비즈니스
(3) 건축 산업계의 대응 및 정책적 혁신 필요
(4) 녹색건축물 부동산가치 산정
3) 신기술 적용 건축물 사례 검토
(1) 국내 친환경 녹색 건축사례
가. 한국토지주택공사 본사 사옥 (경상남도 진주시)
나. 청라국제도서관 (청라국제도시 문화공원 내)
(2) 국내 제로에너지 건축물 사례
(3) HAUD 실무 적용 사례 (BIM 활용 건축물)
가. 경사지의 공동주택 PJ 친환경설계
나. 공연장 리모델링 PJ에서의 녹색건축물 최적화설계

제3장 그린리모델링 산업정책 활성화 방안
1. 그린리모델링 산업과 국내외 제도 동향
1) 그린리모델링 시장동향
(1) 기존 건축물의 건설 실적
(2) 그린리모델링 시장 예측
2) 국내 그린리모델링 관련 제도 동향
(1) 녹색건축인증제도에서의 그린리모델링 실태
(2) 지원사업제도와 녹색인증과의 차이
가. 공공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
나.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사업
다. 그린리모델링 녹색건축 인증과의 차이
(3) 녹색건축물전환제도와 그린리모델링의 관계
3) 국외 기존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관련 제도
(1) 국외 그린리모델링 인증관련 제도 조사
가. 미국 LEED
나. 영국 BREEAM
다. 일본 CASBEE
(2) 기타 녹색건축 인증제도
가. 미국 Built Green
나. 미국 NGBS Certification
(3) 에너지효율 개선 건축물 인증제도
가. 독일 EnerPHit
나. 미국 IHP Certificate
(4) 건축물 에너지성능 인증제도
가. 영국 EPC
나. 프랑스 DPE
다. 미국 ECAD
2.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과 정책 현황
1)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 사업
(1) 그린리모델링 민간이자지원사업
가. 사업개요
나. 지원실적
(2) 이자지원사업 적용기술
가. 필수대상
나. 병행가능기술
(3) 민간이자지원 사업자 선정 및 관리
가. 사업자 선정
나. 사업자 관리
2) 그린리모델링 정책 제안 세부 현황
(1) 우수 그린리모델링사업자 육성
(2) 공공기관 평가에 그린리모델링 시행사항 반영
가. 기본법 정비 1
나. 기본법 정비 2
다.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집행지침 정비
(3)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통한 평가방법
(4) 통합 이행계획서를 통한 그린리모델링 실적 평가방안
(5) 그린리모델링 시행을 위한 민간자금 지원
가. 민간자금 차입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나. 민간자금 상환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다. 민간자금 활용 발주방식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라. 민자유치사업 활용방안 제안
(6) 에너지 성능정보 공개
가. 국내현황
나. 국외현황
(7) 그린리모델링 프리미엄의 가치평가 반영
(8) 건축기준 완화
(9) 조세혜택 부여
(10) 금융비용 지원 및 기타 비용 경감 방안
(11) 공동주택의 장기수선계획을 그린리모델링 중심으로 조정
3. 그린리모델링 사례연구 현황
1) 에너지 효율 향상 및 환경 개선 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1) 연구 목적과 방법
(2) 분석 대상
가. 건축 개요
나. 그린리모델링 이전 건축물 에너지 분석
(3) 설계 목표
가. 에너지 절감률
나. 녹색건축인증
다. LEED 인증
라. BREEAM 인증
마. CPTED와 BF
(4) 주요 적용 친환경 요소 및 시스템
가. 일조·일사
나. 자연환기
다. 단열·결로
라. 기전설비
(5) 그린리모델링 적용 전후 종합비교
(6) 결론
2) 기존 비주거용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실증 분석
(1) 그린리모델링을 위한 방법론
가. 그린리모델링 프로세스
나. 그린리모델링 인증기준(G-SEED GR)
⒜ 에너지 및 환경오염
⒝ 재료 및 자원
⒞ 물순환 관리
⒟ 유지관리
⒠ 실내환경
(2) H 공공기관의 그린리모델링 계획
가. 사전조사
나. 기획 및 계획
다. 샘플시공
(3) H 공공기관의 그린리모델링 결과 분석
가. 에너지성능평가
나. 온열환경
다. 음환경
라. 빛환경
마. G-SEED GR
⒜ 에너지 및 환경오염
⒝ 재료 및 자원
⒞ 물순환 관리
⒟ 유지관리
⒠ 실내환경
(4) 거주후평가(POE)
3) 그린리모델링의 단열, 기밀, 축열 효과에 대한 연구
(1) 연구 목적과 방법
가. 연구의 목적 및 배경
나. 선행 연구 조사
다. 연구의 방법
(2) 실험 계획 및 개요
가. 베이스라인 실험체 및 그린리모델링 실험체 설계
나. 단열 계획
다. 기밀 계획
라. 축열 계획
(3) 모니터링 및 결과 분석
가. 단열 시공 후 온열환경 분석
다. 창호, 단열, 기밀 시공 후 온열환경 분석
다. 창호, 단열, 기밀, 축열재 시공 후 온열환경 분석
라. 종합 분석
(4) 결론
제4장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산업 기술
1.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산업 현황
1) 태양광(PV)분야 글로벌 혁신성과 동향
(1) 태양광 시장과 필요성
가. 태양광분야 시장 전망
나. 태양광 기술개발의 필요성
다. 국가별·기관별 태양광분야 혁신성과 비교분석의 필요성
(2) 태양광분야 혁신성과 동향 분석
(3) 국가별 혁신성과 동향 분석
가. 태양광분야 키워드 분석
나. 양적 혁신성과 결과
다. 질적 혁신성과 결과
라. 글로벌 혁신성과 결과
마. 산·학 혁신성과
(4) 기관별 혁신성과 동향 분석
가. 대학별 혁신성과
나. 공공기관별 혁신성과
(5) 정책적 제언
2)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시장 현황
(1) 산업 개요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기술별 분류
라. 가치사슬 및 용도별 분류
⒜ 가치사슬
⒝ 용도별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 국내외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
⒝ 적용 분야의 확대
나. 시장 분석
⒜ 세계시장
⒝ 국내시장
2.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기술과 특허 분석
1)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2)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 CANON
⒝ SEKISUI CHEM
⒞ TESLA
나. 국내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 LG하우시스
⒝ 코오롱글로벌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 기술진입장벽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4)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나. LDA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5)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나. 핵심기술 리스트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라. 기술개발 로드맵
⒜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 기술개발 목표
3. 투광형 BIPV 에너지성능 분석
1) 투광형 태양광모듈 성능평가
(1) 투광형 태양광 모듈 제원
(2) 투광형 태양광모듈 성능
2) 투광형 BIPV창호 적용건물 개요
(1) 대상건물의 제원
(2) BIVP 시스템 설계
3) 실증건물의 에너지 측정
(1) 대상건물의 기후조건
(2) 태양광발전 성능 분석
(3) 건물의 전력소비 분석
제Ⅱ편 스마트그리드 산업
제1장 신재생에너지 산업정책과 활용분석
1. 신재생에너지 시장과 기업 활용 현황
1)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
2) 국내외 재생에너지 보급과 시장 현황
(1) 전 세계 재생에너지 보급 현황
(2) 최근 재생에너지 시장 주요 이슈
가. (이슈 1) 작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투자 감소, 일시적 현상
나. (이슈 2) 국내 재생에너지 강조 기조, 성과
다. (이슈 3) 美 트럼프 정부의 화석연료 중시, 재생에너지시장 영향
라. (이슈 4) 중국의 태양광산업 지속
마. (이슈 5) 중동 산유국의 재생에너지 투자
3) 글로벌 재생에너지 확산 동인과 한국의 계획
(1)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도달
(2) 계통연계의 안정성
(3) 기술의 발전
(4) 수요 증대
4) 기업의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RE100 확산)
(1) RE100 현황
(2) RE100 전망
(3) RE100 대응 - 일본의 경우
2. 신재생에너지 주요국 정책 동향
1) 중국 정책 동향
(1)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목표
(2) 주요 정책 변화
가. 경매제도
나. 고정전력요금제(FiT)
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전액매수
라.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마. 재생에너지 수송부문 및 난방부문 확대
2) 일본 정책 동향
(1) 제5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
(2) FiT 기준가격 개정 및 경매 시행
(3) 해상풍력 보급 촉진 정책 도입
(4) 전력 시장 자유화 및 유연성 확보
3) 미국 정책 동향
(1) 생산세액공제와 투자세액공제
(2) 재생에너지 정책 퇴보 및 태양광 세이프가드 발효
(3) 캘리포니아의 재생에너지 전력 100%법 시행
4) 유럽 정책 동향
(1) 유럽의 주요 정책 변화
(2) 영국의 정책 변화
(3) 프랑스의 정책 변화
3. 태양광/풍력 산업과 그린수소 생산 현황
1) 국제 태양광과 풍력 동향
(1) 태양광과 풍력의 확대
(2) 태양광 보급 및 산업 동향
가. 보급 동향
나. 산업 동향
⒜ 폴리실리콘
⒝ 모듈
⒞ 태양광 시스템
⒟ 제조업에서 중국 기업 비중
(3) 풍력 보급 및 산업 동향
가. 보급 동향
나. 산업 동향
2) 그린수소 생산
(1) 수전해 방식 기술의 국제 동향
(2) 재생에너지 결합 수전해 방식 실증 사례 및 사업화 사례
(3) 신재생에너지 활용 수전해 방식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제도
제2장 스마트그리드 산업 표준화 현황
1. 스마트그리드 산업 현황
1) 스마트그리드 산업 개요
(1) 스마트그리드 정의 및 특징
(2) 스마트그리드 기술 분야
(3) 스마트그리드 유망 분야
가. 지능형검침인프라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나. 배전망관리시스템 (DMS,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다. 에너지관리시스템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라. 에너지저장장치 (ESS, Energy Storage System)
2)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산업 환경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전력산업 현황
나. 투자 현황
다. 품목별 시장현황
⒜ 지능형검침인프라(AMI)
⒝ 배전망관리시스템(DMS)
⒞ 에너지관리시스템(EMS)
⒟ 에너지저장시스템(ESS)
(2) 글로벌 밸류체인 변화
가. 전통 유틸리티 사업모델의 변화
나. 전력산업 개방
다. 산업생태계 변화
라. 기술동향
(3) 권역별 스마트그리드 유망 분야
(4) 해외 업계 현황
3) 국내 산업 동향
(1)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전력수급 현황
나. 스마트그리드 시장규모
(2) 정책 추진 동향
(3) 주요 품목별 시장현황
가. 지능형검침인프라 (AMI)
나. 에너지관리시스템 (EMS)
다. 에너지저장시스템 (ESS)
라. 배전망관리시스템 (DMS)
(4) 국내기업의 기술경쟁력
가. 기술선도 분야
나. 기술추격 분야
다. 기술열위 분야
(5) 국내 업계 현황
2. 스마트그리드 추진 계획과 표준화 동향
1) 스마트그리드 신서비스 확산과 추진현황
(1) 제1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12.7월)에 대한 평가
가. 총론
⒜ 1차 계획 주요내용
⒝ 성과 및 한계
나. 4개 부문별 주요 실적
⒜ 제도 개선
⒝ 시장 창출
⒞ 기술 개발
⒟ 기반 조성
(2) 해외동향 및 시사점
가. 시장 동향
나. 국가별 동향
⒜ EU : CO2 감축목표 달성
⒝ 미국 : 노후 전력망 현대화, 전력효율화
⒞ 일본 : 수요관리, 마이크로그리드
(3) 추진계획
가. 스마트그리드 新서비스 활성화
⒜ 계절별·시간대별 요금제 확대
⒝ 국민 DR 시장 도입
⒞ 전력 빅데이터 기반 新사업모델 확산
⒟ 전력중개사업 도입·시행
나. 스마트그리드 서비스 체험단지 조성
다.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및 설비 확충
⒜ AMI 인프라 확충
⒝ 실시간 기반 전력망 운영체계 구축
⒞ 전력망의 ICT 인프라 확충
라. 스마트그리드 확산 기반 조성
⒜ 민·관 정책 협력 네트워크 강화
⒝ 5대 부문별 기술개발 및 표준화
⒞ 상호운용·표준 기반 확충
⒟ 산업진흥 및 수출산업화 지원
⒠ 소비자 권리 및 개인정보 보호 강화
⒡ 융합형 혁신인력 양성
2) 스마트그리드 기술 표준화와 특허기술 현황
(1) 스마트그리드 기술 표준화 동향
(2) 스마트그리드 분야 특허기술동향
(3) 스마트그리드 보안 이슈
제3장 에너지저장장치(ESS)산업 보급 분석
1.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과 보급 정책
1) ESS 시장 동향 및 전망
(1) ESS 구성 및 용도
가. ESS 종류
나. 리튬이온전지가 대세
다. ESS 구성
라. ESS 용도
마. 전력용 ESS 기능
바. 상업용 ESS 기능
사. 태양광 연계 ESS 기능
(2) ESS 시장 동향 및 전망
2) 지역별 ESS 보급 정책
(1) 미국
(2) 독일
(3) 일본
(4) 중국
3) ESS 시장의 핵으로 부상한 한국
(1) 한국이 글로벌 시장 주도
(2) EES 활용 촉진 전기요금제 시행
(3) 전력용 ESS는 신재생 정책과 한전 참여가 성장주도
4) ESS 경쟁 환경
(1) 경쟁 구도
(2) 유망 기업
2. ESS 보급 확산과 산업육성 분석
1) 보급확산 정책 제언
(1) 주요국의 ESS 보급확산 정책의 시사점
(2) 보급확산 정책 제언
가. RPS 측면
나. 의무화 측면
⒜ 발전사 및 송배전사의 ESS 설치 의무화
⒝ 민간 에너지다소비 사업자의 ESS 설치 의무화
다. 자가소비 측면
라. 세금 혜택 측면
2) ESS 산업육성 정책 제언
(1) 국내 ESS 산업의 강약점 분석
(2) 산업육성 정책 제언
가. ESS 산업 역량 강화 측면
⒜ ESS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실증사업을 추진
⒝ 공기업 발전회사의 ESS 디벨로핑 역량 강화 및 ESS 시장 창출
나. ESS 기술 강화 측면
3) 기술보급에 따른 사업모델 및 민간기업 사업체계 동향 사례
(1) ESS 대여사업
(2) 제3자의 ESS 설비를 이용한 유틸리티사의 ESS 사업
(3) 가정용 태양광발전+ESS를 이용한 가상발전소(VPP) 사업
(4) 전기차 폐배터리를 이용한 유틸리티용 ESS 사업
(5) 이동이 가능한 유틸리티용 ESS 사업
4) 에너지저장장치(ESS) 정보보호 방안 현황
(1) 에너지저장장치(ESS) 보안위협
(2) 에너지저장장치(ESS) 보안대책
가. 기기 인증(Device Authentication)
나. 상호인증(Mutual Authentication)
다. 네트워크 접근제어(Network Access Control)
라. 부인방지(Non-Repudiation)
마. 교환 메시지 기밀성 및 무결성
제4장 에너지 수요자원산업 정책 현황
1. 국내·외 에너지 수요자원 산업 현황
1) 에너지 수요자원 시장 활성화 현황
(1) 산업 개요
(2) 에너지 수요관리 시장 활성화
가. 현황 및 평가
나. 주요 과제
⒜ 수요관리 비즈니스 발굴 확산
⒝ 수요관리 시장 기반 강화
(3) 전력 수요자원 거래시장 현황
가. 전력 수요자원 거래시장에서의 거래 방법
나. 전력 수요자원 거래시장 고객 등록 요건
다. 수요감축량 산정을 위한 기준선
라. 거래의 유형
(4) 전력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주요 쟁점
가. 고객 등록 조건에서의 문제
나. 거래 기준선의 적절성 문제
다. 원단위 개선의 한계
2) 국외 에너지 수요자원 시장 동향
(1) 주요 국가별 현황 비교
(2) 미국
가. 개요
나. PJM
다. ISO-NE
라. ERCOT
(3) 캐나다
가. Ontario
나. Alberta
(4) 유럽
가. 개요
나. 영국
다. 프랑스
라. 벨기에
마. 싱가폴
3) 국내 에너지 수요자원 시장 동향
(1) 개념과 도입배경
(2) 운영방법과 성과
4)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이용한 수요자원 거래시장 전략
(1) 적용 수용가 비교
(2) 기존 ESS 운전 전략
가. 피크절감 및 차익거래
나. 피크절감 및 차익거래 전략
다. 적용 수용가 피크절감 및 차익거래
(3) DR 시장 참여 경제성
가. 국내 DR 시장 개요
나. 급전감축 참여 효과
(4) 통합운전
가. 통합운전 제안
나. 통합운전 예시
다. 연간 통합운전 효과
2. 주요국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동향
1) 해외 에너지 통계
(1) 주요국 에너지소비 비교
(2) 주요국의 전력소비 비교
2) 주요국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
(1) 국가별 목표와 주요정책
가. EU
나. 프랑스
다. 독일
라. 미국
마. 영국
바. 일본
(2) 부문별 에너지효율 향상 정책
가. 산업
나. 가정·건물
다. 수송
라. 공공부문
마. 기반조성부문
3) 해외 에너지 수요관리사업 분석
(1) 해외 수요반응 정책
가. 미국
나. 유럽
다. 아시아
(2) 국내 수요반응 시장
(3) 해외 수요관리사업자 사례연구 및 시사점
가. 해외 수요관리사업자 사례
나. 시사점

통계(도표)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