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혁신성장 5대 신산업 추진전략과 산업별 정책/기술·시장전망 분석

기본 정보
필자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지음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페이지 604쪽 210 * 297 mm
출판년도 2021년 10월 14일 출간
판매가 ₩342,000원
시중가격 ₩380,000원
상품코드 P0000BIG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ISBN 9791158621896(1158621892)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혁신성장 5대 신산업 추진전략과 산업별 정책/기술·시장전망 분석
필자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지음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페이지 604쪽 210 * 297 mm
출판년도 2021년 10월 14일 출간
판매가 ₩342,000원
시중가격 ₩380,000원
상품코드 P0000BIG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ISBN 9791158621896(1158621892)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7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상담문의는 당사 문의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전 세계적으로 “K-컬쳐”라는 전혀 새로운 영역이 산업·문화 등 우리 일상 전반에 걸쳐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다. 기술, 아이디어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신산업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산업으로 우리 기업의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2021년 우리 모두가 주목해야 할 5대 신산업으로 메타버스, 클라우드, 블록체인, 지능형 로봇, 디지털 헬스케어를 선정하고 산업별 시장 트렌드와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메타버스’는 우리 정부가 기술과 콘텐츠 측면에서 새로운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정책 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콘텐츠를 많은 사람이 창작·제작하도록 독려하기 위한 방안을 기획하고 2022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하려고 한다. IT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특히 ‘클라우드’과 ‘블록체인’과 같은 디지털서비스는 공공 섹터, 민간 분야 가리지 않고 모든 변화의 중심에 놓였고, 디지털 전환은 이제 급속하게 기업과 정부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시대 과제가 되게 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IoT(사물인터넷)의 발달, 빅데이터 활용 증가,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4P 의학(Preventive 예방, Prediction 예측, Personalized 맞춤, Participatory 참여)이 강조되면서, ‘지능형 로봇’,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의 범위와 깊이가 더욱 넓어지고 있다. 또한,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창궐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5대 신산업 혁신성장 추진전략 분야 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혁신성장 5대 신산업 추진전략과 산업별 정책/기술·시장전망 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5대 신산업 혁신성장 추진전략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클라우드/블록체인/지능형 로봇/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1. 10.


목차

제1장 메타버스 산업 적용 기술 전략
1. 메타버스 산업 트렌트 변화 현황
1) 메타버스 메가 트렌드 동향
(1) 메타버스, 메가 트렌드의 시작
가. 정의와 역사: 탈물질화 세계
나. 열광의 이유: 인간 본성 & 소득 양극화
⒜ 심리학적 요인
⒝ 소득 양극화 심화
다. 범위와 구분: 로블록스는 일부
라. 메타버스 산업 발전 방향: 4D & 스마트 시티
⒜ 3D를 넘어 4D로
⒝ 스마트 시티 조성
(2) 트렌드의 현재와 미래
가. 플랫폼과 SW/컨텐츠 업체에 쏠린 시선
나. 누가 어떻게 돈을 버나
⒜ 플랫폼
⒝ 소프트웨어/컨텐츠
⒞ 인프라
다. 하드웨어 사이클이 온다
⒜ 차기 주자는 VRㆍAR 디바이스
⒝ 사이클 도래의 이유
⒞ 2022년, 메타버스 시장 성장의 원년
2) 메타버스 5대 이슈 분석
(1) 게임을 넘어서 경제로(Beyond Game, Toward Economy)
(2) 메타버스 기기의 확대 (Expanding Metaverse Device)
(3) 디지털 휴먼의 성장(Growing Digital Human)
(4) 다양한 IP와 협력하는 메타버스(IP×Metaverse)
(5) NFT와 결합하는 메타버스(NFT×Metaverse)
(6) 놀라운 미래(Surprising Future)를 준비
2. 메타버스 산업과 기술 플랫폼 현황
1) 메타버스, 새로운 산업 기회 분석
(1) 메타버스가 성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
가. 플랫폼 성장의 필요조건Ⅰ: 젊은 유저 층
나. 플랫폼의 성장 필요조건Ⅱ: 유저들의 자발적인 콘텐츠 소비, 생산
(2) 일반적인 게임과는 다른 메타버스
(3) 메타버스의 핵심은 화폐경제
가. 로벅스(Robux)를 통한 경제 시스템, 지속 성장에 핵심
나. 아직은 불가능한 개인 외부 광고 첨부, 정책변화?
(4) 메타버스 콘텐츠 전쟁
가. 외부와 내부 모든 것이 전쟁, “다방면”이 필요
나. 메타버스의 핵심은 실감형 콘텐츠와 VFX 기술력
다. 메타버스에 등장할 실감형 콘텐츠 어디까지 왔나
(5) 미국 메타버스 산업
가. 세계를 데이터화해 이해하고 싶은 미국 Big Tech
나. 가장 중요한 자산이 될 ‘데이터’
다. 메타버스, Big Tech들의 ‘데이터 러시’의 종착점
라. 페이스북이 가장 간절하다
(6) 중국 메타버스의 꿈
가. 중국 메타버스 = 텐센트 성장
나. 메타버스 양대 축: 플랫폼과 컨텐츠
(7) XR 하드웨어
가. 메타버스 시대 앞당길 XR 하드웨어 시장 성장
나. VR 디바이스, 게임 산업 기반으로 대중화
다. AR 디바이스 성장은 이제 시작
라. 모바일 AR 플랫폼 주도권 경쟁
마. AR 핵심 기술 ToF 3D 센싱
바. LG이노텍이 ToF 모듈 주도
(8) 메타버스가 불러올 디스플레이 변화
가. 빅테크 업체들이 주도할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시장
나. OLEDoS 마이크로디스플레이, OLED와 실리콘 웨이퍼가 만나다
다. RGB OLEDoS, FMM의 발전과 함께 결국 가야할 길
2) 메타버스 플랫폼과 비즈니스 모델 분석
(1) 국내외 메타버스 플랫폼 현황과 비즈니스 모델
가. 국내외 주요 메타버스 플랫폼
나. 비즈니스 모델 사례
⒜ 게임, 공연 등 엔터테인먼트와 제품 마케팅 플랫폼
⒝ 플랫폼의 수익창출: 구독과 인앱결제 시스템
⒞ 이용자의 수익창출: 콘텐츠 제작 및 판매
(2) 메타버스 플랫폼으로의 진화
(3) 다양한 산업으로 향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4)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로의 초대
3. 메타버스 기술동향과 산업적용 현황
1)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XR 기술동향
(1) 메타버스 구현을 위해 XR 기술이 산업별로 활용 확산
(2) 다양한 분야의 기술 성장하며 협력
2) 메타버스 관련 기술 연구개발 동향 분석 연구
(1) 메타버스 관련 기술 연구개발 수행 건수
(2) 메타버스 관련 기술 연구개발 수행 주체
(3) 메타버스 관련 기술 연구개발 단계
3) 메타버스 산업별 적용 현황
(1) 비대면 교육, 메타버스 현황
(2) 메타버스發 금융업 변화와 시사점
(3) 미디어 산업의 방향과 시사점

제2장 클라우드 산업 전략 기술 분석
1. 클라우드 산업 현황과 전망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클라우드의 부상
(1) 코로나가 클라우드에 미치는 영향
(2) 클라우드 개념과 분류
(3)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
(4) 국내 클라우드 기업의 전략적 행보
(5) 금융회사의 클라우드 도입
(6) 디지털 뉴딜의 핵심, 클라우드
(7) 클라우드 발전방향 및 미래기술 전망
2) 디지털뉴딜의 핵심인프라,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동향
(1) 디지털뉴딜에서 클라우드의 역할
(2) 국내외 클라우드 산업 동향
가. 국내외 클라우드 관련 정책 동향
나. 국내외 클라우드 시장 동향
다. 국내 클라우드기업들의 현주소
(3) 향후 전망
3) 2021년 클라우드컴퓨팅의 주요 흐름과 과제
(1) 클라우드가 팬데믹 극복의 중심
(2) 엣지 컴퓨팅은 새로운 클라우드
(3) 인공지능 엔지니어링
(4) 기업을 위한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조인트 서비스
(5) 빅 테크 기업의 오픈 생태계 구축
(6) 클라우드 게이밍
(7) 더 많은 사람이 가상 데스크톱을 사용
2. 클라우드 산업 활용과 기업 투자현황
1) 클라우드 국내외 활용 동향
(1) 해외의 클라우드 활용
(2) 국내의 클라우드 활용
2) 클라우드 산업 주요 정책 현황
(1) 국가 클라우드 대전환
가.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면 전환
나. 클라우드 예산 및 조달 체계 혁신
다. 민간 클라우드 도입환경 개선
(2)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강화
가.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나. 클라우드 이용 지원
다. 기업 간 협업체계 구축
3) 주요 산업별 클라우드 투자 및 적용 현황
(1) 클라우드 산업 개요
(2) 국내 주요 산업별 클라우드 도입 및 투자 현황
(3) 주요 산업별 클라우드 적용 효과 및 국내전망
(4) 시사점
4) 분산 클라우드 전망과 기업용 클라우드 경향
(1) 분산 클라우드, 그 배경과 향후 전망
가. 분산 클라우드(Distributed Cloud)가 주목을 받게 된 배경
나. 분산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다. 분산 클라우드 서비스 유즈케이스
라. 분산 클라우드 전망
(2) 기업용 클라우드의 선택 기준과 최신 경향
가. 클라우드 전환에 대응하는 기업 CEO의 관점
나. 클라우드 선택의 5가지 기준
⒜ 협업 및 콘텐츠 관리 지원
⒝ 모빌리티 및 화상회의 지원
⒞ 가상 데스크톱과 원격 관리 지원
⒟ 장애복구(Disaster Recovery) 및 업무 지속성 지원
⒠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 지원
다. 클라우드 솔루션 선택 경향
⒜ 기업들의 클라우드 솔루션 선택기준이 매우 현명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시장을 주도하면서 개념이 확대
⒞ 멀티클라우드 모델로의 전환이 빠름
⒟ 두 마리 토끼를 순서를 정하여 잡는 바이모달(Bimodal) 클라우드 전략
(3) CES 2021 속의 클라우드 활약기
가. 코로나-19로 100% 디지털 행사
나. 클라우드와 인공지능 역할 더욱 부각
다. LG전자 씽큐 ‘오픈 이노베이션’ 매진
3.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개발과 표준화 전략
1)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동향 및 트렌드
(1)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동향
(2) 클라우드 컴퓨팅 트렌드
(3)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정책 수립 현황
(4) 클라우드 컴퓨팅 표준화 현황
(5) 특허분석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개발 동향
(6) 주요 기업 및 연구기관
(7) 분야별 주요 기업/기관의 특허활동 현황
(8) 산·학·연 공동연구 현황
2)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 디지털통상규범의 필요성
(1) 클라우드 컴퓨팅과 통상규범
(2) 클라우드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국의 ICT 정책
가. 미국
나. 중국
다. EU
라. 한국
(3)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통상규범의 필요성
가. 다자차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디지털통상규범 논의 동향
⒜ WTO 서비스무역협정(GATS) 양허표상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 국경 간 데이터 이전
나. FTA 차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디지털통상규범 동향
⒜ 서비스협정 양허표상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 국경 간 데이터 이전
⒞ 데이터 현지화 금지
⒟ 개인정보보호 국내법 체계
(4) 결론 및 시사점
4.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과 기업 성장 현황
1) 데이터 시대의 필수 플랫폼
(1) 클라우드 시대의 도래
(2) 클라우드 서비스의 탄생 배경과 적용 사례
(3) 클라우드 활용 목적은 비용 절감에서 빅데이터·인공지능으로 진화 중
(4)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분
가. 서비스 모델에 따른 구분
나. 서비스 제공 형태에 따른 구분
(5) 클라우드 컴퓨팅 Value Chain 분석
2) 1인자 아마존의 여유 vs MS의 반격
(1) 경쟁 구도의 변화: 상위 업체를 중심으로 개편 중
(2) 아마존 vs 마이크로소프트: 숙명의 라이벌인가, 클라우드 시대의 동반자인가?
가. 아마존 - 선발주자의 선점효과
나. 마이크로소프트 - IT 전통 강자의 반격
다. 벤처 붐 vs Windows 기반 엔터프라이즈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속도
(3)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을 가로막는 요인들
가. 보안, 클라우드 도입의 가장 큰 장벽
나. 기존 대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속도 둔화
다. 가격 인하에 따른 성장성·수익성 훼손 우려는 기우
3) 소프트웨어 기업의 신성장동력 분석
(1) 구독기반 모델, 안정성과 성장성의 콜라보
(2) 라이선스 판매 vs 구독기반 모델
(3) 사용자 입장에서 SaaS를 이용하는 이유는?
(4) 소프트웨어 분야별 주요 기업
가. Salesforce (CRM US)
나. Microsoft (MSFT US)
다. Atlassian (TEAM US)
4) 클라우드 전쟁 속 숨은 보석 찾기
(1) 데이터센터도 빌려 쓰는 시대
(2) Cloud Managed Services Provider (MSP)
제3장 블록체인 산업 정책 기술 현황
1. 블록체인 산업 동향
1) 블록체인 산업 개요
(1) 블록체인 정의
(2) 블록체인 특성 및 세부기술
(3) 블록체인 유형
2)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과 정책 방향
(1)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 방향
(2) 기반 서비스로서의 블록체인
(3) 블록체인과 비즈니스
(4) 블록체인과 새로운 산업의 융복합화
3) 블록체인 시장과 기업 동향
(1) 시장 특성
가. 시장 원동력
나. 산업 환경 분석-5 Forces 분석
⒜ 구매자들의 협상력
⒝ 공급자들의 협상력
⒞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 대체재의 위협
⒠ 경쟁의 위협
다. 가치 사슬(Value-Chain)
(2)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3) 기업 동향
가. 경쟁 환경
나. 주요 기업 동향
⒜ IBM
⒝ Microsoft
⒞ AWS
⒟ Oracle
4) 국가별·산업분야별 블록체인 적용 사례
(1) 중국
(2) 미국
(3) 한국
2. 블록체인 국내외 정책과 추진전략
1) 블록체인 정책동향
(1) 블록체인 해외정책 동향
(2) 블록체인 국내정책 동향
2) 블록체인 추진전략
(1) 블록체인 7대 분야 전면 도입
가. 온라인 투표시스템 구현
나. 기부금 관리 플랫폼의 투명성 제고
다. 사회복지급여 중복수급 방지체계 마련
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서비스 확산
마. 규제자유특구 연계 디지털화폐 도입
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부동산 거래 서비스 활성화
사. 우정사업 통합 고객 관리체계 구축
아. 블록체인 확산 과제 추가 발굴
(2) 비대면 경제의 인프라로서 분산신원증명 서비스 활성화
가. 분산신원증명(DID) 의의 및 정책원칙
나. 범부처 통합 공공플랫폼 구축
다. DID 간 연동지원 및 타 인증수단 연계
라. 미래 비대면 사회 대응을 위한 혁신 서비스 발굴 및 적용
마. DID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3) 블록체인 기업 통합지원체계 구축
가.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활성화 지원
⒜ 서비스형 블록체인(Blockchain as a Service) 의의
⒝ BaaS 활성화 전방위 지원
나. 시장 수요와 연계된 블록체인 서비스 모델 발굴 지원
다.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향상을 위한 기술혁신지원센터 구축
라. 신남방 국가 대상 블록체인 기업 진출 지원
(4) 블록체인 혁신 생태계 조성
가. 블록체인 법제도 개선 및 가이드라인 마련
나. 규제자유특구와 연계한 혁신적 시범사업 추진
다.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라. 대국민 인식제고
3. 블록체인 기술과 플랫폼 동향
1) 블록체인 기술경쟁력 현황
(1) 블록체인 핵심기술
가. 공개키 암호화
나. P2P 네트워크
다. 블록체인 프로토콜
(2) 블록체인 기술 특징
2) 차세대 블록체인 핵심기술 개발
(1) 블록체인 원천 및 융합 기술 개발 추진
(2) 블록체인 글로벌 표준 대응 강화
3) 블록체인 주요 응용 현황 및 한계
4) 블록체인 주요 플랫폼 및 상황 진단
(1) 블록체인 플랫폼 현황
(2)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환경 및 성과
가. 이더리움
나. 비트코인
다. 하이퍼레져
(3) 고성능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솔루션
가. 합의 알고리즘
⒜ DPoS
⒝ PBFT
⒞ DAG
⒟ DBFT
⒠ PoSW/PoW+PoS
⒡ PoA
⒢ LFT
⒣ PoI
나. On-chain 솔루션
⒜ Segwit
⒝ Sharding
⒞ 빅블록
다. Off-chian 솔루션
⒜ Child chain
⒝ Side Chain
5) 블록체인 국내외 표준화 동향과 특허 현황
(1) 국내외 표준화 동향
(2) 특허현황
4. 블록체인 기술적용 산업별 활용 현황
1) 블록체인 기술의 금융시장 적용 사례
(1) 블록체인 핵심 기술
가. P2P(Peer-to-Peer) 네트워크
나. 암호 기술
다. 투명하고 분산된 거래 기술
라.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2) 은행에서의 적용
(3) 증권시장에서의 적용
가. 블록체인 기술 적용 환경
나. 블록체인 기술 적용에 따른 변화
다. 기대 효과
라. 적용 한계
(4)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금융산업
가. 금융권 유즈케이스 분류
⒜ 자본시장
⒝ 은행업권
⒞ 보험업권
⒟ 공공
나. 금융권 유즈케이스 혁신 사례
⒜ 중국양광보험 사례
⒝ InsurETH 사례
⒞ Project Ubin
다. 금융권 블록체인 확산 방안
2) 블록체인 기술의 국외 보건의료분야 적용 사례
(1) 공공부문
가. 에스토니아의 e-health records
나. 미국 일리노이 주의 출생증명
다. 네덜란드의‘나의 치료 기록(Mijn Zorg Log)’
(2) 민간부문
가. MedRec
나. MediLedger Project
3) 농식품 분야 블록체인 기술 활용 현황
(1) 국내외 활용 현황
가. 국내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
나. 중국 사례
⒜ 월마트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식품 유통망 구축
⒝ 징둥닷컴의 수입산 쇠고기 추적 시스템 구축
다. 일본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유기 농산물 품질 검증시스템 구축
라. 미국 사례
⒜ 폐기농산물 재활용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문제 해결
⒝ 식품 안전 강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적용
마. 유럽 사례
(2) 블록체인 기술의 식품콜드체인분야 도입
가. 필요성
⒜ 식품이력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 식품 오염 발생 시 신속한 추적가능
⒞ 거래 효율성 제고
⒟ IoT·블록체인 결합 기술로 실시간 온·습도 모니터링 가능
⒠ 블록체인 기술기반 콜드체인 제품 관리 시스템 단일화
나.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의 식품콜드체인분야 적용사례
4) 부동산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가능성 동향
(1) 부동산 토큰화, 스마트 계약과 증권형 토큰
가. 스마트 계약
나. 증권형 토큰
다. 토큰과 리츠의 비교
(2) 부동산 토큰화 해외사례
가. 해외사례 1: ATLANT (모스크바, 러시아)
나. 해외사례 2: BitRent (런던, 영국)
다. 해외사례 3: Bloquid (모스크바, 러시아)
라. 해외사례 4: Meridio (뉴욕, 미국)
마. 해외사례 5: QuantmRE (뉴욕, 미국)
(3) 블록체인 기술의 정책적 활용
제4장 지능형 로봇 산업 정책 기술 현황
1. 지능형 로봇 산업 기술 분석
1) 지능형 로봇 산업 개요
(1) 일반적 정의
가. 정의
나. 필요성
(2) 구축 범위
가. 가치사슬
나. 대표적 분류 방법
다. 기술로드맵 전략분야의 범위
(3) 미래 유망산업, 지능형 로봇 전망
가. 서비스용 로봇 위주의 고속성장 전망
나. 국내 산업용 로봇 안정성장, 서비스용은 중간제품 초기 단계
다. 로봇은 관련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
2) 지능형 로봇 시장 분석
(1) 세계 시장 분석
가. 시장 규모와 전망
나. 국가별 산업 동향
⒜ 미국
⒝ 일본
⒞ 중국
다. 세계시장 핵심플레이어 동향
⒜ 제조용 로봇
⒝ 방역 로봇
⒞ 물류/배송 로봇
⒟ 안내 로봇
(2) 국내 시장 분석
가. 국내 시장 전망
나. 국내 생태계 현황
다. 생태계 핵심플레이어 동향
⒜ 제조용 로봇 분야
⒝ 전문 서비스 로봇 분야
⒞ 개인 서비스 로봇 분야
3) 시장 기회 전망 분석
2. 지능형로봇 정책 육성과 추진방향
1) 지능형 로봇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정책 동향
가.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로봇산업 육성 추진
나. 로봇산업 정책 주요 성과
2) 국내외 산업인력 정책 동향
(1) 국내 산업인력정책 동향
(2) 글로벌 산업인력정책 동향
3) 2020년 지능성 로봇 주요성과 분석
(1)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2) 4대 서비스 로봇분야 집중 육성
(3)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4) 2021년도 추진방향과 실행 계획
(1) 추진방향
가. 수요자 중심의 로봇 활용 모델 개발 및 확산
나. 로봇을 활용한 全산업의 디지털 전환 유도
다. 규제 완화 및 실증 환경 마련을 통해 첨단로봇 성장기반 조성
(2) 2021년 실행 계획
가.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나. 4대 서비스 로봇분야 집중 육성
다.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3. 지능형 로봇 기술 현황
1) 지능형 로봇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동향
가. 인간과 소통하는 로봇
나. 주요국 기술 현황
⒜ 미국
⒝ 일본
⒞ 유럽
⒟ 중국
(2) 국내 기술 동향
가. 방역 로봇
나. 물류·농업 로봇
다. 의료·재활 로봇
라. 안전 로봇
마. 안내/돌봄 로봇
2) 국내외 지능형 IoT 서비스 로봇 개발 및 활용 사례
(1) 방역 로봇
(2) 안내 로봇(Reception Robot)
(3) 돌봄 로봇(Care Robot)
(4) 배달 로봇(Delivery Robot)
3) 지능형 로봇 표준 동향
(1) ISO 표준화 동향
(2) IEC 표준화 동향
가. IEC TC59 SC59F WG5(Surface cleaning robots) 활동 현황
나. ISO/IEC JWG 표준화 동향
다. ISO/IEC TC299 JWG(Medical Robots) 분과별 활동 현황
라. ISO TC299 JWG5/IEC TC62 SC62D JWG35(Medical Robots for Surgery)
마. ISO TC299 JWG5/IEC TC62 SC62D JWG36(Medical robots for rehabilitation)
(3) IEEE 표준화 동향
가. IEEE-RAS(IEEE-Robotics and Automation Society) 분과별 활동 현황
나. 국가표준(KS) 표준화 현황
4. 산업별 지능형 로봇 기술 활용 현황
1) 물류 배송 지능형로봇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자율주행 기술의 확대 적용
나. 관련 산업 및 기술과의 연계 발전 필요
다. ICT 기술과의 융복합화
라. 운용사 입장의 다중 로봇 운용 기술 개발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 물류센터/공장물류 로봇 관련 기업 현황 및 특징
⒝ 피킹(Picking) 기능을 가진 물류로봇 관련 기업 현황 및 특징
⒞ 재고관리 로봇 관련 기업 현황 및 특징
⒟ 물류로봇을 위한 공통 솔루션 관련 기업 현황 및 특징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 물류센터/공장물류 로봇 관련 기업 현황 및 특징
⒝ 기타 국내 R&D 및 기업 사례
2) 협업형 산업현장 작업지원 지능형 로봇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협동로봇에 대한 첨단기술의 통합 적용
나. 협동로봇 기술을 통한 작업 현장의 효율성 증대
다. 세부기술 현황
라. 산업용 협동로봇의 국가 표준 및 국제 안전규격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배달 및 안내 서비스 로봇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자율주행 기술은 배달로봇에 필수
나. 운용사 입장의 다중 로봇 운용 기술 개발
다. 안내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
라. 음성인식 기술은 서비스 로봇에게 필수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4) 커뮤니케이션 돌봄 로봇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인간 친화적, 신체 지원도 가능한 기술이 필수
나. 신체지원 로봇의 기술개발 현황
다.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극대화 하는 감정인식 기술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5) 수술용 의료 로봇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플랫폼 기반형으로 수술용 의료로봇 개발 추진
나. 최소침습 수술용 로봇의 새로운 경쟁 위한 신기술 분야
다. 인공지능 융합 및 비대면 원격 의료 대응 등 신기술 개발 가속화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6) 살균/방역 지능형 로봇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 성장 예상
나. 다양한 방역·케어 로봇
다. 효과적인 방역로봇 활용 방안 및 방역 작업 기술 개발 필요
라. 방역 로봇을 실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관제·운용 기술 및 서비스 모델 개발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제5장 디지털 헬스케어산업 정책 R&D 현황
1.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과 활용 동향
1) 디지털 헬스케어 현황과 전망
(1) 디지털 헬스케어 개요
가. 디지털 헬스케어 정의
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구조 및 배경
⒜ 패러다임 및 산업의 구조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배경
(2) 4차 산업혁명시대 헬스케어
가. 특징
나.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헬스 트렌드
(3) 디지털 헬스케어 현황
가. 산업 동향
나. 향후 전망
2)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스타트업 동향
(3) 국내 시장 동향
3) Data/Network/AI 활용 동향
(1) Data 분야
(2) Network 분야
(3) AI 분야
4)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1) 의료 빅데이터 개방·공유·활용에 정부와 기업이 적극
(2) 모바일 헬스케어를 통한 단계적 추진이 바람직
(3) 융합형 인재와 글로벌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육성에 도전
5) 빅데이터와 고성능 센서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1) 건강영양관리 측면에서의 디지털 헬스케어
가. 영양평가와 질병관리를 도와주는 디지털 헬스케어
나. 실제적인 영양관리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다. 카메라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양관리
(2)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와 의료 인공지능
가.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진단 및 관리
나. 진단의 정확성과 설명가능성 겸비한 의료 인공지능 주목
다. 미래의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와 의료 인공지능
(3) 고성능 센서와 IoT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가. 환경 모니터링 센서, 오염 물질별 정량화된 데이터를 수집
나. 웨어러블 센서, 인간과 기계를 연결하여 헬스케어 구현
다. 의료용 센서, 암 치료부터 욕창 관리까지 다양하게 활용
(4) 계획된 빅데이터 구축이 필요
(5) 빅데이터 공유와 개방,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의 열쇠
(6) 고부가가치 센서를 위한 연구와 인력 투자, 산업의 선순환 구조가 필요
2.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과 품목별 선도 기업
1) 디지털 헬스캐어 정책 동향
(1) 국내 정부의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가. 박근혜 정부의 디지털 헬스 정책
나. 문재인 정부의 디지털 헬스 정책
(2)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정책 추진방향
(3) 선진국 정책 현황
가. 미국
나. 일본
다. EU
(4) 신남방국가 정책 현황
가. 베트남
나. 인도
2) 디지털 헬스케어 공공의료 혁신 정책 현황
(1) ‘혁신성장’ 중심의 정부 정책 방향성
(2)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타 국가의 공공의료 혁신 사례
가. 영국 NHS의 ‘디지털 헬스케어 테스트베드’
나. 호주 ADHA의 ‘마이 헬스 레코드’
다. 핀란드 정부의 ‘가상 병원 2.0’
라. 미국 NIH의 ‘올 오브 어스’ 프로그램
(3) 공공의료를 혁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
가. 정부 주도의 하향식 접근법을 통한 개방형 생태계 조성
나. 새로운 법적 기틀을 마련
3) 품목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트렌드
(1)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동향
(2)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 동향
(3) 원격의료 산업 동향
(4) 전자의무기록(EMR/EHR) 산업 동향
4) 품목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현황
(1) 디지털 헬스케어 선도 기업
가. 핏비트(Fitbit)
나. 서너(Cerner)
(2) 디지털 헬스케어 유망 기업
가. Aira Tech - 시각장애인 보조용 스마트 안경
나. Buoy Health - 인공지능 기반 진단 서비스
다. Nurx - 여성용 원격의료 서비스
3.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동향
1)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동향
(1)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동향
가. 디지털 헬스 기술개발 현황
나. 디지털 헬스 기술 활용에 대한 의료계 인식
(2) 주요 국가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독일
다. 일본
(3) 향후 전망 및 정책적 제언
가. 향후 전망
나. 정책적 제언
2)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 동향
(1) 개인건강기록(PHR) 활용 기술 동향
가. 마이데이터
나. OHDSI와 OMOP CDM
다. 닥터앤서
(2)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 기술 동향
가. 애플
나. 구글
다. 아마존
라. 23andMe
마. IBM
3) 특허분석을 통한 한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경쟁력 분석연구
(1) 선행연구
(2) 연구방법
가. 분석대상
나. 분석항목
⒜ 국가별/세부기술별 특허출원건수
⒝ 주요 출원인 Top 10
⒞ 기술경쟁력
⒟ 기술트렌드 분석
(3) 연구결과
가. 국가별/세부기술별 특허출원건수
나. 주요 출원인 Top 10
다. 기술경쟁력
라. 기술트렌드 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4. 분야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과 R&D 동향
1) 분야별 산업 동향
(1) 모바일 헬스(mHealth, Mobile Health)
(2) 텔레헬스케어(Telehealthcare)
(3) 헬스분석(Health Analytics)
(4) 디지털 헬스시스템(Digital health system)
2)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별 기업 사례
(1) 모바일 헬스(mHealth, Mobile Health)
(2) 텔레헬스케어(Telehealthcare)
(3) 헬스분석(Health Analytics)
(4) 디지털 헬스시스템(Digital health system)
3) 디지털 헬스케어 R&D 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결과
가. 의료정보/시스템 R&D 투자현황
나. 의료정보/시스템 R&D 성과현황
4) 디지털 헬스케어, 온라인 피트니스 성장 현황
(1) 계속되는 팬더믹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급성장
(2) 미국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 개요
(3) 미국 피트니스 시장 트렌드
(4) 주목 받는 미국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 키 플레이어
(5) 미국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 주요 전망

도표(그림) 목차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