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폐자원 순환경제 정책/기술 분석 폐기물산업/폐플라스틱/폐배터리 | 양장본 Hardcover

기본 정보
필자 R&D정보센터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페이지 604쪽 210 * 297 mm
출판년도 2022년 08월 12일
판매가 ₩342,000원
시중가격 ₩380,000원
적립금 17,100원 (5%)
상품코드 P0000BMA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ISBN 9791158622169 ( 1158622163 )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폐자원 순환경제 정책/기술 분석 폐기물산업/폐플라스틱/폐배터리 | 양장본 Hardcover
필자 R&D정보센터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페이지 604쪽 210 * 297 mm
출판년도 2022년 08월 12일
판매가 ₩342,000원
시중가격 ₩380,000원
적립금 17,100원 (5%)
상품코드 P0000BMA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2,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ISBN 9791158622169 ( 1158622163 )
QR코드
qrcode
이미지로 저장코드URL 복사트위터로 보내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7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상담문의는 당사 문의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본서의 특징

지속 가능한 경제를 위해 자원순환 전환산업이 예고 되고 있는 시대를 맞이하여 지속 가능한 소비·생산을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생산-소비관리-재생’으로 구성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의 전환이 추진 중이다. 정부도 자원효율성 제고를 위해 「자원순환 기본법」을 제정하여 2027년까지 폐기물 배출량 감소(-20%)와 실질 재활용 제고(+12%P) 등이 포함된 자원순환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과 배터리 폐기물 이슈가 심각하다. 플라스틱은 한 해 약 4억톤이 생산되고 어느 물질보다도 생산 증가율이 높다. 폐플라스틱 발생량이 폐기물 처리 용량을 뛰어넘으며 환경오염이 심각해졌고, 2050년 넷제로를 위한 탄소 예산의 14%에 해당하는 560억톤의 온실가스가 폐플라스틱 인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배터리 재활용 산업 육성은 우리나라 배터리 공급망 선순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소재 재활용으로 중국 등 배터리 자원보유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가 주력하고 있는 삼원계 배터리는 제조원가가 높아 재활용시 경제적 이점도 높다. 또한 배터리의 순환형 생태계를 구축해 세계적인 순환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자원순환 재활용 산업 분야의 경쟁력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폐자원 순환경제 정책/기술 분석 -폐기물산업/폐플라스틱/폐배터리」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자원순환 재활용 산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폐기물/폐플라스틱/폐배터리 산업의 기술 및 시장 전망과 생산사례, 산업 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 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2. 8.



목차



제Ⅰ편 자원순환 재활용 산업
제1장 자원순환 경제적 분석 정책 현황
1. 자원순환시대 폐기물산업 변화 및 정책 현황
1) 자원순환시대 배경 동향
(1) 자원순환시대로의 전환
(2)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
가. 제품서비스화
나. 수거(회수) 및 재활용 비즈니스
다. 제품수명연장
(3) 폐기물산업의 변화가능성
가. 변화하는 폐기물산업: ① 환경규제 강화
나. 변화하는 폐기물산업: ② 수급불균형 심화
다. 변화하는 폐기물산업: ③ 지정폐기물 처리 수요
2) 순환경제의 정의 및 국내외 현황
(1) 순환경제의 정의
(2) 국내 폐기물 및 OECD 주요 국가별 도시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3) 순환경제 분야 정책환경 변화 및 전망
가. 코로나19 장기화 및 비대면 소비 증가로 인한 포장재 폐기물 증가
나. 수도권 매립지 종료 및 생활폐기물의 직매립 금지 예정
다. 수도권 재활용 폐기물 수거 거부 사태 및 불법 방치 폐기물 문제
3) 순환경제 분야 재정투자 및 관련 정책 현황
(1) 순환경제 분야 재정투자 현황
(2) 국내 순환경제 정책 현황
4) 자원순환 정책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1) 폐기물처분부담금
(2) 쓰레기 종량제 수수료
(3) 재활용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2. 순환경제 부상배경과 폐기물 처리시장 현황
1) 순환경제 부상의 배경
(1) 자원고갈 심화와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 부각
(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정책 공조
(3) EU그린딜: 기후변화 대응 + 新 경제 성장동력 = 순환경제 부상
(4) 한국형(K) 순환경제 로드맵
2) 폐기물 처리시장 현황
(1) 폐기물 처리시장 특징: ① 안정적인 수요 기반
(2) 폐기물 처리시장 특징: ② 높은 진입장벽
3.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K)-순환경제 동향
1) 주요 현황
(1) 생산·유통단계 자원순환성 강화
(2) 친환경 소비 촉진
(3) 폐자원 재활용 확대
(4) 안정적 처리체계 확립
(5) 순환경제 사회로 전환
2) 순환 단계별 자원순환 全과정(Life-cycle) 관리
(1) (원료 생산 단계)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원료 사용 촉진
가. 혁신소재 개발 및 상용화
나. 바이오 플라스틱 활성화
다. 재생원료 이용 확대
(2) (제품 생산 단계) 자원순환형 생산·공정 구축 확대
가.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에코디자인) 도입
나. 제조공정 순환성 제고
다. 자원순환형 스마트 그린산단 조성
(3) (유통 단계) 친환경 소비 촉진
가. 저탄소 자원순환제품 소비 장려
나. 재생원료 사용 제품 공공구매 의무화
(4) (유통 단계) 포장페기물 감량
가. 포장폐기물 감량 촉진
나. 다회용기 사용 시범사업 추진
다. 포장용기 재사용(소분 판매) 활성화
(5) (폐기 단계) 폐자원 회수·재활용 확대
가. 고부가가치 폐기물 재활용 촉진
나. 금속 재자원화 및 도시유전 활성화
다. 미래폐자원 회수·재활용체계 구축
라.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및 효율 개선
3) 정책 주체별 순환경제 이행 확산
(1) (소비자) 소비자 권리 강화
가. 환경표지 등 에코 라벨링 개선
나. 제품의 재질·구조 및 재활용 용이성 표시
다. 수리받을 권리 보장
(2) (기업) 산업계 친환경성 유도
가. 환경정보 공개 확대
나. 녹색금융 활성화
다. 순환경제 촉진기술 세제 지원
(3) (기업) 순환경제 신산업 육성
가. 재제조 산업 확대
나. 새활용(업사이클) 산업 활성화
다. 공유경제 등 신사업 발굴·확장
라. 순환경제 신기술·서비스 규제 샌드박스 도입 추진
(4) (도시) 공간 단위 순환체계 강화
가. 발생지 처리 원칙 확립
나. 폐기물 전과정 관리형 스마트 그린도시 구축
(5) 홍보·교육 및 민간참여 확대
가. 범국민 실천 홍보
나. 플라스틱 감축 교육 확대
다. 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범사회적 연합체 운영
4) 주요 품목별 순환체계 구축
(1) 순환자원 인정제도 활성화
(2) 7대 품목 순환이용 확대
가. 포장재
나. 플라스틱
다. 섬유
라. 전기·전자제품
마. 자동차 및 배터리
바. 음식물
사. 건설자재
4. 자원순환 단계별 세부과제 현황
1) 생산단계: 자원효율적 생산구조 확립
(1) 업종별 자원생산성 제고
가. 촉진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국가 자원효율지표·관리 시스템 구축
⒝ 업종별 자원생산성 향상 지원
⒞ 제조 공정 발생 폐기물의 원료 재사용 촉진
다. 주요지표
(2) 생산단계 폐기물 원천감량 촉진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사업장별 맞춤형 자원순환 성과관리
⒝ 생산자 중심의 폐기물 저감·재활용 기술개발·확산
다. 주요지표
(3)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제품 설계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재활용 저해 제품의 순환이용성 개선
⒝ 포장재, 전기전자제품 등 자원순환형 생산 확산
⒞ 자원순환형 소재·디자인 개발 지원
다. 주요지표
2) 소비 단계
(1) 생활 속 폐기물 발생 억제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대체가능한 1회용품 사용 제로화
⒝ 불필요한 과대포장 근절
⒞ 지자체별 생활폐기물 감량 강화
다. 주요지표
(2) 자원 효율적인 친환경 소비 촉진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공공·민간부문의 친환경 소비 확산
⒝ 제품 공유 및 재사용 기반 구축
다. 주요지표
(3) 자원순환 문화 조성 및 확산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국민 참여형 자원순환 거버넌스 구축
⒝ 지역 시민사회 주도 자원순환 실천운동 전개
⒞ 수요자 맞춤형 자원순환 교육 및 전문가 양성
다. 주요지표
3) 관리단계
(1) 재활용 촉진을 위한 배출·수거·선별체계 혁신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재활용을 고려한 분리배출 개선
⒝ 재사용과 연계된 안정적 수거체계 구축
⒞ 선별 효율 개선으로 잔재물 최소화(환경부)
다. 주요지표
(2) 폐기물 직매립 제로화 및 처리 최적화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폐기물 직매립 제로화 추진
⒝ 지역 거버넌스에 기반한 폐기물 처리 최적화
⒞ 폐기물 처리시설 운영효율 개선
다. 주요지표
(3) IT 기반 폐기물 안전 관리 강화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IT 기반 폐기물 처리 전 과정 관리 강화
⒝ 유해 폐기물 종류별 안전관리 강화
⒞ 폐기물 수입 관리 강화로 부적정 처리 예방
다. 주요지표
4) 재생단계
(1) 미래 고부가가치 재활용 촉진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미래 폐자원 재활용 기반 구축
⒝ 가치상향형 재활용 기술·방법 개발
⒞ 재생원료 품질기준 마련으로 품질 안정화
다. 주요지표
(2) 물질 재활용 중심의 재활용 체계 개선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재생원료 수요 확대 및 다변화
⒝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강화
⒞ 폐자원에너지화 효율성 제고
다. 주요지표
(3) 재활용 시장 안정화 및 산업 육성
가. 현황 및 여건
나. 세부 추진과제
⒜ 재활용 시장 안정화 체계 구축
⒝ 영세 재활용 산업 지원 확대
다. 주요지표

제2장 폐기물 업사이클링 재활용 산업 현황
1.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와 시장 및 기술 현황
1)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와 온실가스 저감
(1) 폐기물 처리업 현황
가. 개요 및 업계 현황
나. 업종 특징
(2)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3) 폐기물 분야 온실가스 발생 현황
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과 폐기물
나. 폐기물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4) 온실가스 저감(탄소중립)과 미래 폐기물
가.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와 온실가스
나. 미래 폐기물 발생과 처리
2) 폐기물 시장 성장 분석
(1) 폐기물 Biz.의 성장’ 제2라운드 돌입
가. 주요 내용
나. 종합 및 시사점
(2) 폐기물 관리시장 산업 개요
가. 기술 개요
나. 시장 현황
다. 시장 특성
⒜ 시장 원동력
⒝ 산업 환경 분석-5 Forces 분석
⒞ 가치 사슬(Value-Chain)
⒟ 코로나(COVID-19)의 영향
(3) 폐기물 관리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라. 우리나라 시장 규모
(4) 폐기물 관리 기업 동향
가. 경쟁 환경
나. 주요 기업 동향
⒜ Veolia
⒝ SUEZ
⒞ Waste Management
⒟ Republic Services
⒠ Waste Connections
3) 폐기물 재활용 기술 동향
(1) 탄소중립 및 수소사회 실현을 위한 폐자원 이용 수소 제조 기술
가. 폐자원과 탄소 중립
나. 폐기물(유기성 폐기물은 제외) 이용 수소 제조 기술
다. 폐자원 이용 수소 제조 실현을 위한 이슈 사항
(2) 폐기물매립지의 온실가스 저감기술
가. 위생매립장 문제
나. 폐기물분야 온실가스(매립가스) 발생
다. 환원정화설비(바이오리액터)
⒜ 환원정화설비(바이오리액터) 종류
⒝ 환원정화설비(바이오리액터) 주요 연구사례
라. 수도권매립지 실증연구
마. 결론 및 제언
(3) 국내외 폐기물고형연료(SRF) 산업의 동향 및 시사점
가. 폐기물 처리에서 SRF의 역할
나. 국내 SRF 산업 현황 및 과제
⒜ 국내 SRF 관련 규정
⒝ 국내 SRF 제조 및 수입 현황
⒞ 국내 SRF 사용시설 현황
⒟ 국내 SRF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
다. 외국 SRF 산업 현황
⒜ SRF관련 규정
⒝ SRF산업 현황
라. 제언
(4) 탄소중립사회 구현을 위한 폐기물처리시설 고도화 방안
가. 순환경제 및 탄소중립을 위한 폐기물-에너지-물 융합
나. 폐기물에너지-물 융합에서의 지속가능한 폐기물매립지 역할
다. 결론
(5) 그린순환도시 구축을 위한 폐자원에너지의 역할
가. 그린순환도시의 개념
나. 그린순환도시 실행계획에 있어서 폐자원에너지의 역할
다. 그린순환도시를 위한 국내 폐자원에너지의 활용현황
라. 제언
(6) 지속가능한 K-자원순환기술의 개도국 진출 장애요소와 최적화 방안
가. K-자원순환 기술의 현황
나. 해외 자원 순환기술의 진단
다. 자원순환기술의 맞춤형 접근
라. 결론
2. 업사이클링 산업 현황 및 활성화 방안
1) 업사이클산업 정의와 특징
(1) 폐기물 재활용을 넘어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재탄생?
(2) 육성과 자원순환 문화조성을 위한 법ㆍ제도 마련?
(3) 부가가치 창출은 산업활동과 문화활동이 핵심요소
2) 업사이클 산업 현황
(1) 연간 4,000억 달러, 업사이클 시장은 태동기
(2) 국내ㆍ외 업사이클산업 사례
(3) 국내 업사이클 센터
3) 업사이클산업 인식분석과 시사점
4) 업사이클산업 활성화 방안

제Ⅱ편 폐플라스틱 산업
제1장 플라스틱 순환경제 정책 혁신기업 사례
1. 플라스틱 순환경제 정책 및 기술 현황
1) 플라스틱 순환경제의 필요성
(1) 환경적 관점
(2) 경제적 관점
2) 플라스틱 순환경제 정책 동향
(1) 글로벌
(2) 국내
3) 플라스틱 순환경제 기술 동향
(1) 물리적 재활용
(2) 화학적 재활용
가. 화학적 재활용 기술: 가스화 및 열분해(화학 원료화)
나. 화학적 재활용 기술: 해중합
다. 화학적 재활용 기술: 정제
(3) 열적(에너지) 재활용
4) 플라스틱 순환경제 시장 전망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기술별 전망
(3) Retail 시장 전망
5) 플라스틱 순환경제 관련 기업 동향
2. 플라스틱 국제 규제현황 및 기업 대응
1) 국제사회의 플라스틱 규제 현황
(1) 다자협력
(2) 주요국 대응
(3) 평가 및 시사점
2) 플라스틱 선순환을 위한 기업 현황
(1)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 대한 기업의 대응
가. 플라스틱 사용 부문
나. 플라스틱 공급 부문
(2) 가치사슬의 변화에 따른사업기회와 리스크
가. 탈플라스틱 사회로의 전환
나. 가치사슬의 변화에 따른 산업계의 사업기회와 리스크
다. 플라스틱 업계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라. 결론 및 시사점
3. 주요국별 탈플라스틱 정책 및 혁신기업 사례
1) 독일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Silphie Paper GmbH
나. Landpack GmbH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2) 프랑스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Vegeplast
나. Albea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3) 영국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Topup Truck
나. Asda Stores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4) 네덜란드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Corbion
나. RanMarine Technolog
다. Vanplestik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5) 벨기에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The New Norm Company(브랜드명 : Norm)
나. Do EAT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6) 이탈리아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Agromateriae
나. Novamont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7) 스위스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지방정부 차원의 규제
⒝ 유통업체, 소비자의 자발적 캠페인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Bloom Biorenewables
나. Freitag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8) 스페인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Ecoalf
나. SEAT (세아트)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9) 오스트리아
(1) 현황
(2) 중점 추진 정책
가. 플라스틱 폐기물 감축정책
⒜ 제품 생산단계 규제
⒝ 제품 소비단계 규제
나. 재활용 정책
⒜ 폐기물 재활용률 현황
⒝ 폐기물 수거체계 및 유통경로
(3) 탈플라스틱 혁신기업 사례
가. Mondi pl
나. Voeslauer Mineral wasser GmbH
(4) 향후 전망
가. 정책 특징
나.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 향후 전망
제2장 폐플라스틱 정책 재활용 산업 기술
1. 폐플라스틱 정책과 기술 현황
1) 글로벌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 현황 및 국내 대응
(1) 글로벌 플라스틱 폐기물 현황
(2)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EU의 정책
(3) 제5차 유엔환경총회 결의안; 플라스틱 오염 종식
(4) 국내 동향
2) 폐플라스틱 관리 정책동향
(1) 플라스틱 중 미세플라스틱, 마이크로비즈의 위해성에 대한 관심 증가
가. 플라스틱은 풍화 등을 거쳐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으로 해양유입
나.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은 먹이사슬단계를 통해 생태계 위협
다. EU 폐플라스틱은 재활용 31%, 에너지회수 41%, 매립 27%로 처리
라. 플라스틱폐기물의 위해성 예방을 위한 생산ㆍ소비단계의 관리 개선
마. 국내 플라스틱폐기물 재활용목표 2030년까지 70%로 설정 추진
바. 기업의 플라스틱폐기물 관리를 위한 친환경설계 도입
(2) 폐플라스틱 발생 및 처리
가. 국내 플라스틱폐기물 발생량 5년간 30% 증가, 재활용률은 62%
나. 한국은 1人가구, 온라인 쇼핑 증가로 1인당 택배 44.8건으로 세계 1위
다. 포장폐기물의 재질구조 개선 및 생산자책임기구 역할 정립
다. 폐플라스틱 에너지화를 포함한 재활용률 일본은 83%, 한국은 62%
라. 국내 해양쓰레기는 총량은 연간 177천 톤으로, 대부분 육상에서 유래
마. 국내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폐기물이 5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3) 폐플라스틱 재제조 기술
(1) 기술 개요
(2) 다양한 플라스틱들의 열분해 거동 특성
(3) 폐플라스틱의 촉매 열분해 기술
(4) 바이오매스와 폐플라스틱의 혼합 촉매 열분해 기술
(5) 결론 및 전망
2. 플라스틱 재활용 및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정책 현황
1) 플라스틱 재활용 당위성과 기술 현황
(1) 석유화학 산업에서 Re-Opening
가. 플라스틱의 종류와 글로벌 증설량
나. 글로벌 플라스틱 증설의 중심: 중국과 한국
다. 플라스틱의 일생: 재활용은 지구의 생존을 위해서 필요한 일
(2) 플라스틱 재활용의 종류와 방법
가. 에너지 재활용
나. 물리적 재활용
다. 화학적 재활용의 필요성
라. 화학적 재활용의 종류: 해중합(De-ploymerization)
마. 화학적 재활용 종류: 열분해(Pyrolysis), 가스화(Gasfication)
바. 재활용의 효과를 판단하는 기준, LCA
(3) 국내 기업 현황
(4) 결론
2)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정책 분석
(1) 석유화학산업에서의 화이트바이오의 필요성
(2)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동향
가. 플라스틱 사용 절감을 위한 글로벌 노력
나. 바이오플라스틱의 분류
다.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라. 바이오플라스틱 경쟁기업
(3)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정책 동향
가. 해외 바이오플라스틱 정책 동향
나. 국내 바이오플라스틱 정책 동향
(4)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산업 동향
가. 해외 바이오플라스틱산업 동향
나. 국내 바이오플라스틱산업 동향
(5) 국내 바이오플라스틱산업 육성 전략
3. 플라스틱 리싸이클링 및 업사이클링 산업 기술 분석
1) 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의 현주소 및 향후 방향
(1) 폐플라스틱 현황 및 리싸이클링
가. 플라스틱(합성수지) 통계 현황
나. 폐기물의 분류 및 발생 현황
(2) 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 기술
가. 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 기술
나. 폐플라스틱 리싸이클링 R&D 현황
(3) 기술개발 방향
가. 폐플라스틱 수거체계 구축 연구
나. 폐플라스틱 재질별 분리선별 기술 연구
다. 폐플라스틱 화학적 리싸이클링 연구
라. 플라스틱 단일 소재화 기술 개발
2)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산업과 기술 분석
(1) 배경기술분석
가. 산업 생태계 분석(정의, 구조 및 특징)
⒜ 산업활동과 문화산업의 융·복합
⒝ 업사이클링 산업은 사회적 특성을 지님
나. 주요 산업 이슈
다. 해외 정책 동향
⒜ EU
⒝ 미국
⒞ 중국
⒟ 일본
라. 국내 정책동향
⒜ 녹색성장 5개년 계획
⒝ 자원순환기본계획
⒞ 한국판 뉴딜의 양대축, 「그린뉴딜」
(2) 핵심 요소기술
가. 업사이클링 프로세스
나. 소재
다. 디자인
라. 5가지 핵심기술 측면의 기술혁신
(3) 발전 방향 및 개발 트렌드
가. 중소기업 중심 산업
나. 실용적인 지원체계 요구
다. 다채로운 소재기술 개발
라. 지역별·소재별 산업 네트워크 구축
마. 폐플라스틱 리사이클링 기술
바. 폐플라스틱 재질별 분리선별 기술 연구 동향
(4) 산업동향분석
가. 산업트렌드 및 성장전망
⒜ 폐플라스틱 발생량 증가 추세
⒝ 업사이클링 및 환경보전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구매 유인력 증가
⒞ 환경산업과 문화산업 간 융·복합 산업으로서의 성장가능성 잠재
나. 국내·외 시장규모
⒜ 세계
⒝ 국내
(5) 주요기업분석

제Ⅲ편 폐배터리 산업
제1장 배터리/이차전지 산업 기술 현황
1.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동향 및 전망
1) 전기차용 배터리 현황·전망 및 주요 이슈
(1) 배터리산업의 개요 및 전망
(2) 배터리 시장의 역사와 안전성 이슈
(3) 주요 국가별 EV용 배터리 투자 동향
(4) 배터리 내재화와 데이터 수집
(5) ‘내재화’ 및 ‘에너지의 통제’는 곧,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의 미래
2)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
(1) 최근 배터리 시장 현황 동향
(2)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주요 이슈
가. 韓·中·日 글로벌 경쟁 심화
나. EU·美의 역내 공급망(RVC) 구축 강화
다. 완성차 업체 배터리 내재화 움직임 확산
(3) 韓 전기차 배터리 수출 동향
3)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 및 전망
(1) 배터리 소재 광물 시장 개요
(2) 배터리 소재 3대 핵심광물
가. 리튬
나. 니켈
다. 코발트
2.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산업 및 기술 추진전략
1)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 산업 및 전망
(1) 최근 시장 트렌드
가. 환경규제 본격화 및 자국산업 보호 추세
나. 신규 시장 진입자의 등장
(2)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3) 기업 동향
가. 주요 기업 현황
나. 주요 기업 동향
⒜ BYD
⒝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 GS Yuasa
⒟ LG chem
⒠ EnerSys
(4) 향후 전망
가. 완성차-배터리 업계 내 활발한 협업 이어질 전망
나. 기술ㆍ가격 경쟁력 격차 유지에 주력
2) 전기차용 이차전지 기술개발 분석
(1) 배터리 소재 기술 고도화
(2) 차세대전지 기술 대비 활발
(3) 완성차 제조사의 기술표준 강화
3) 차세대 이차전지 추진전략
(1) (전략1) 차세대 이차전지 1등 기술력 확보를 위한 대규모 R&D 추진
가. 미래시장을 주도하는 차세대 이차전지 제조기술 조기 확보
나. 차세대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핵심 소부장 요소기술 확보 병행
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
(2) (전략2) 글로벌 선도기지 구축을 위한 연대와 협력의 생태계조성
가. 안정적인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 구축
나. 이차전지 소부장 핵심기업 육성
다. 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
라. 글로벌 트렌드에 대응한 제도기반 마련
(3) (전략3) 이차전지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수요시장 창출
가. 사용후 이차전지 시장 활성화
나. 이차전지 수요기반 확대
다. 이차전지 서비스 신산업 여건 조성
4) 주요 이슈별 생산기업 동향
(1)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연구개발 및 생산 현황
가. 소재(음극재, 양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 연구개발(중국)
나. 공정 (제조, 성능개선 등) 연구개발(중국)
다. 안전 및 재활용 연구개발(중국)
라. 생산동향(중국)
(2)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 및 생산 현황
3. 국가별 이차전지 주요 소재생산기업 및 정부 정책 현황
1) 이차전지 4대 소재 생산기업 현황 및 시장 전망
(1) 미국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NEI Corporation
⒝ 하니웰(Honeywell)
⒞ Amprius Technologies
⒟ Targray
⒠ Lithium Werks
⒡ ENTEK
⒢ GM-포스코케미칼
다.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2) 캐나다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나.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3) 일본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시장 수요 및 성장 전망
(4) 중국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분리막
⒝ 양극재
⒞ 음극재
⒟ 전해액
다.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5) 독일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분리막 : Evonik Litarion GmbH
⒝ 양극재 : BASF SE
⒞ 음극재 : SGL Carbon SE
⒟ 전해질 : saltigo GmbH
⒠ 전해질 : Customcells Holding GmbH
나.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 및 성장 전망
(6) 프랑스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Arkema(분리막, 양극재, 음극재)
⒝ Alteo(분리막 코팅)
⒞ SAFT(전해질)
⒟ Eramet(원자재 채굴)
다.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 4대 소재(분리막,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시장 성장 전망
⒝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분야(소재 재활용) 시장 성장 전망
(7) 이탈리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8) 폴란드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계획
⒜ 분리막
⒝ 양극재/음극재
⒞ 전해질
다.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9) 헝가리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10) 스웨덴
(11) 동남아시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태국
⒝ 인도네시아
다.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 태국
⒝ 인도네시아
(12) 인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나. 4대 소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13) 멕시코
2) 나라별 4대 소재 산업 주요 규제 및 육성정책
(1) 미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이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2) 중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 현황
나. 이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3) 프랑스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 현황
나. 이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4) 이탈리아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이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5) 태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이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6) 인도
(7) 멕시코
(8) 브라질

제2장 폐배터리 순환경제 산업 기술 현황
1. 배터리 순환경제 산업 현황
1) 배터리(이차전지)에 대한 이해
(1) 이차전지 개요
(2) 이차전지의 구조: 리튬이온 이차전지
가. 화학적 구성 및 작동 원리
나. 외적 구성
(3) 이차전지 시장 규모 및 전망
(4) 글로벌 경쟁 구도
2) 배터리 순환경제의 필요성
(1) 환경적 관점
(2) 경제적 관점
3) 배터리 순환경제 정책 동향
(1) EU
(2) 미국
(3) 중국
(4) 국내
4) 배터리 순환경제 기술 동향
(1) 폐배터리 재사용(Re-Use)
(2) 폐배터리 재활용(Re-Cycling)
가. Re-Cycling 기술: 습식 제련
나. Re-Cycling 기술: 건식 제련
5) 배터리 순환경제 시장 전망
(1) 글로벌
(2) 국내
6) 배터리 순환경제 관련 기업 동향
2. 배터리 재활용 산업 동향
1) 배터리 재활용 산업 개요
(1) 아이템 개요
(2) Value Chain
(3) 글로벌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트렌드
가. 재사용(Reuse)방식
나. 재활용(Recycle)방식
2) 배터리 재활용 시장 동향
(1) 글로벌 시장
(2) 국내 시장
3) 배터리 재활용 산업 동향
(1) 글로벌 산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중국
(2) 국내 산업 동향
4) 국가별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산업 비교
3. 배터리 재활용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1)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 관련 이슈
(1) 리튬이온 배터리의 사회적/환경적인 영향
가. 사용후 바테리 잔존가치 평가 및 해체
⒜ 배터리 팩, 모듈 및 셀의 진단
⒝ 배터리 팩, 모듈 해체의 문제점
⒞ 자동 배터리 해체
⒟ 사용후 배터리의 안정화
나. 리사이클링 방법
⒜ Pyrometallurgical process
⒝ 물리적인 재료 분리
⒞ Hydrometallurgical Metal 회수
⒟ Direct Recycling
⒠ Biological Metals Reclamation
⒡ 새로운 성장동력원 발굴기회
(2)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 국내동향
가. 환경부
나. 산업부
다. 민간기업
2) 배터리 재활용 정책 동향
(1) 국내 정책 동향
가. 거점 수거센터 구축
나. 미래 폐기물 재활용 체계 구축
다. 미래 폐기물 재활용 기준 제시
라.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2)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중국
3) 배터리 재활용 기술 동향
(1) 기술범위 및 특징
(2) 국내/외 기술 Trend
가. 희유금속 회수 위주
나. 전기자동차 보급 증가에 따른 폐배터리 증가
다. 국내 기술 경쟁력
4. 폐배터리 재활용 및 리사이클링 동향
1) 폐배터리 산업 환경
(1) E-Waste 동향
가. E-Waste의 심각성
나. 자원의 무기화
다. 미국 Big3 폐기물 기업, 재활용(Upstream)으로 확장
라. EV 폐배터리 시장에서 환경 기업의 역할
(2) E-Waste 재활용의 진화
가. E-Waste 항목별 분석
나. 과거 도시광산업의 실패요인
다. ITAD, 선진국 중심의 성장
2) 폐배터리 산업 환경 및 기업 전망
(1) EV 폐배터리 성장환경과 재활용이슈
가. 2차전지 전방산업의 중장기 시장 전망
나. EV 폐배터리 재활용 이슈
⒜ EV 폐배터리 기준 설정 문제
⒝ EV 폐배터리 수거 및 해체 이슈
⒞ EV 폐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구분 이슈
⒟ EV 폐배터리 소유권 문제
⒠ EV 폐배터리 제도적 장치 마련 이슈
다. EV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자원 접근의 용이
⒝ 유한자원에 대한 의존도 감소
⒞ 배터리용으로 준비된 자원 확보
⒟ 높은 메탈 회수율
⒠ 높은 재료 비중과 비용 절감의 기회
라. EV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경쟁력
⒜ 충분한 캐파와 안정적 폐배터리 자원 확보
⒝ 리사이클링 기술 효율화와 사업 영역 확대 (전구체까지)
(2) 국내 EV배터리 재활용, 협력 구도가 필요
가. 폐기물 기업, Upstream의 최종 목표는 EV 배터리
나. EV 폐배터리, 앞공정이 중요
(3) 글로벌 재활용 기업 동향
가. 자동차 OEM 기업 사례
나. 배터리 셀 제조기업 사례
다. 배터리 소재 제조기업 사례
라. 독립계 재활용 기업 사례
마. 글로벌 재활용 기업 사례의 시사점
(4) 폐배터리 고순도 희소금속 재활용 및 표준화
가.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고순도 희소금속 재활용
나.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표준화
3)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동향과 시사점
(1) 개요
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종합관리 실증
나.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실증
다. 재사용 불가 배터리 재활용 실증
라. 메뉴판식 규제특례
(2) 기대효과
(3) 실현성과
(4) 종합평가 및 향후 과제
가. 종합평가
나. 향후 과제
⒜ 지속적인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신사업 모델 발굴
⒝ 벤처기업 창업 지원을 위한 각종 지원책 마련
⒞ 자동차 부품 업체 등으로의 외형 확대
⒟ 규제자유특구 관련 전담 행정부서를 설치 및 운영

도표(그림) 목차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