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섬유·패션산업 디지털 뉴딜 R&D분석』은 〈섬유산업 최신 이슈와 지속가능섬유 개발동향〉, 〈친환경섬유(재활용, 생분해)와 그린가공기술 기술개발동향〉, 〈섬유·패션산업 디지털제조(전환) 현황〉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제 1장 섬유산업 최신 이슈와 지속가능섬유 개발동향

1. 국내 섬유산업 현황과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
1) 국내 화학섬유산업의 현황
(1) 해외투자 현황
(2) 생산 현황
가. 분야별 생산
나. 용도별 출하구조
(3) 수출입 현황
가. 수출
나. 수입
(4) 세계시장점유율 현황
2) 국내 화학섬유산업의 정책과제
(1) 당면 현안
가. 공급 과잉
나. 수입 제품에 의한 내수시장 잠식
다. 넛크래커 상황 직면
(2) 정책 과제
가. 공급과잉 해소
나. 내수시장 창출
다. 첨단 산업용 화학섬유 육성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화 및 수출주력산업화
3) 섬유패션산업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
(1) 최근의 환경변화
(2) 환경 친화적 산업으로 전환
가. 친환경 섬유소재 개발
나. 염색업종 그린산업 전환
다. 자원순환형 그린섬유 생태계 육성
라. 친환경?·디지털 분야 전문인력 양성
(3)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
가. 공정별 디지털 제조 기술 개발 및 실증
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다. K-패션 디지털 생태계 조성
라. 섬유 특화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구축
(4) 첨단기술로 안전한 사회 구현
가. K-방역제품 생태계 육성
나. 안전보호 소재산업 육성
다. 부직포 소재산업 고도화
라. 첨단 산업소재 자립화
(5)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화
가. 지역거점 봉제산업 혁신공정 구축
나. 섬유스트림간 기술협력 강화
다.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기반조성
라. 의류생산 리쇼어링 기반조성
(6) 기대효과
(7) 추진일정 및 소요예산
2. 섬유패션산업 소재/textile 혁명기술 동향
1) 4차 산업혁명과 소재 경향
(1) 배경
(2) 물리학 기술과 연관된 소재
가. 3D 프린팅
나. 신소재
(3) 생물학 기술과 연관된 소재
가. 합성생물학(Sythetic biology)
나. 바이오 플라스틱
2) 4차 산업혁명과 패션 텍스타일 패브리케이션 동향
(1)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2) 바이오 패브리케이션
(3) 스마트 텍스타일
3) 소재 혁명 기술 동향 및 사례
(1) 소재 혁명 기술개발 동향
(2) 소재 혁명 기술개발 사례
(3) 바이오 기술 접목
가. 바이오 기술과 섬유개발의 접목
나.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소재 개발 동향
(4) 업사이클링
3, 지속가능/친환경 섬유 주요동향
1) 지속가능섬유 관련 산업현황
(1) 국내외 산업현황
가. 지속가능성을 위한 글로벌 섬유패션기업의 대응
나. 해외 주요 섬유패션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동향
다. 국내 주요 섬유패션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동향
(2) 시장 규모
가. 섬유패션시장
나. 세계 친환경 섬유 시장
다. 국내 친환경 섬유 시장
(3)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4) 인증 및 표준화동향
가. 주요 지속가능성 인증 및 평가도구
A) ZDHC(Zero Discharge of Hazardous Chemicals)
B) Higg Index
C) OEKO-TEX
D) Bluesign
E) GRS (Global Recycle Standard)
F)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
나. 생분해성 관련 국내외 인증
다. 바이오매스 관련 국내외 인증
(5) 지속가능섬유 제품화 현황
(6) 친환경 합성섬유 특허 분석
가. 특허동향 분석
A) 연도별 출원동향
B) 국가별 출원현황
C) 기술 집중도 분석
나. 주요 출원인 분석
2) 대체 재료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섬유 연구동향
(1) 지속 가능한 대체 섬유 소재 국내 사례
가. 업사이클링 패션 - 래코드(Re:code)
나. 페트병 가방 - 플리츠마마(Pleats Mama)
다. 대나무 원단 - 선부셀(Sunbucell)
라. 옥수수섬유 양말 - 콘삭스(cornsox)
마. 커피찌꺼기 - 커피박 재자원화 프로젝트(coffee bak)
(2) 식재료 기반 대체 섬유 소재 국외 사례
가. 가죽, 모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
A) 파인애플 - 피나텍스(Pinatex)
B) 포도 - 비제아(Vegea)
C) 사과 - 해피지니(Happy Genie)
나. 면, 견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
A) 오렌지 - 오렌지파이버 (Orange fiber)
B) 우유 - 큐밀히(Qmilch)
C) 버섯뿌리 - 마이코텍스(Mycotex)
D) 해조류 - 시셀(seasell)
(3) 국내 대체 섬유 소재 개발 방향
(4) 국내 친환경 대나무(Bamboo)섬유 기업분석
가. 대나무 친환경 섬유소재 연구개발
나. 오가닉 브랜드 런칭
다. 개별 단계 오가닉 공정화
라. 국제 인증 획득
마. 국내 시장의 문제점 파악과 대응
3) Techtextil 2019 전시회에서 소개된 기능성 친환경섬유
(1) Techtextil 2019
(2) Techtextil 2019 친환경 섬유소재·제품 개발동향
가. 친환경 코르크 섬유소재 : CORK-A-TEX- Sedacor(포르투갈)
나. 안티몬 프리 PET 섬유 : TopGreen? Sb Free- FENC(대만)
다. Gebruder Otto : Piumafil
라. Kufner Holding
마. Bio4Self project
바. ecoatech
사. Korteks
아. TVU 그룹
자. Noble Biomaterials
차. Aquafil
카. Lenzing AG
타. Markische Faser
파. BioTex Fieldlab project
하. Giovanni Bozzetto SpA
4) 천연섬유 기반의 복합재료 기계적 물성 연구동향
(1) 해초 나노섬유/황마섬유 강화 복합재료 기계적 물성
가. 연구 방법
A) 나노섬유의 추출
B) 복합재료 제조
C) 기계적 물성평가
나. 연구 결과
A) 인장 거동
B) 굽힘 거동
C) 저속충격 거동
D) 파단면 분석
(2) 친환경 소재 첨가한 천연섬유 복합재 기계적 물성
가. FT-IR, XRD 분석
나. 인장 거동
다. 전단 거동
라. 굽힘 거동
마. 충격 거동
바. 파단면 분석

제 2장 친환경섬유(재활용, 생분해)와 그린가공기술 기술개발동향

1. 리사이클/업사이클 섬유소재 개발현황
1) 리사이클 섬유
(1) PET 리사이클 섬유
(2) 국내 리사이클 섬유 생산 단계별 문제점
가. PET병 수거 단계
나. Flake 생산 단계
A) 가격경쟁력 문제
B) Flake 품질 문제
다. 비의류용 리사이클 원사 생산 단계
라. Chip 생산 단계
(3) 국내 폐플라스틱 순환경제 제품생산
(4) 폐유리 재활용 유리섬유로 만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가. 기존 PA 컴파운드와 동등한 물성으로 다양한 자동차 부품에 적합
나. 탄소발자국 감축 생산공정, 재활용 원자재 사용한 에코 제품 확대
(5) 탄소섬유강화 복합소재(CFRP) 친환경 재활용 기술
가. 배경
나. 열분해 방법
다. 유동상식 소각 분해법
라. 에스터 결합의 Alcoholysis 반응을 이용한 화학적 분해방법
마.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화학적 분해방법
바. 물을 이용한 화학적 분해방법
사. 국내 연구현황
아. 국외 연구현황
자. CFRP 시장 동향
2) 업사이클링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소재동향
(1) 국내외 업사이클링 패션브랜드의 현황
(2) 국외 업사이클링 패션브랜드 제품유형
(3) 국외 업사이클링 패션브랜드 제품의 소재유형
가. 폐의류 및 직물
나. 폐비닐 및 폐고무
다. 기능성 특수소재
라. 폐가죽 및 기타
2. 생분해성 고분자/섬유 소재 개발동향
1)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시장분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천연고분자계 바이오플라스틱 기술개발동향
나. 미생물 합성계 바이오플라스틱 기술개발동향
다. 중합형 고분자계 바이오플라스틱 기술개발동향 166
라. 해외 기술개발 동향
마. 국내 기술개발 동향
(2) 관련업계 기술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3. 친환경 염색/가공 이용 고부가섬유 기술동향
1)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섬유 가공기술
(1) 용도별 분류
(2) 해외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플레이어 동향
2) 플라즈마 가공 기술
(1) 용도별 분류
(2) 산업 동향
(3) 기술개발 동향
(4) 해외 플레이어 동향
(5)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액체 암모니아 기술
(1) 용도별 분류
(2) 산업 동향
(3) 기술개발 동향
(4) 해외 플레이어 동향
4) 특수 잉크 디지털 프린팅 및 소재별 상용화 기술
(1) 용도별 분류
(2) 특수 잉크 분류
가. UV 잉크
나. 전도성 잉크
다. 형광 잉크
라. 라텍스 잉크
마. 시온 잉크
(3) 산업 동향
(4) 기술개발 동향
5) 디지털 날염(DTP) 공정을 활용한 섬유 소재의 기능성 가공기술
(1) 산업 동향
(2) 해외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플레이어 동향
6)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제 3장 섬유·패션산업 디지털제조(전환) 현황

1. 섬유패션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 섬유패션산업의 디지털 전환
(1) 섬유·패션분야의 노동시장 및 인력수요 변화
(2) ‘Next Normal’ 중장기 전략 구상
2)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섬유·패션산업
(1) 스마트 팩토리(IoT, 로봇 등)
(2) 3D 가상의류 및 개인 맞춤형 의류제조
가. 신기술과 의류 산업의 융합 기술
나. 주요 CAD/CAM 시스템
(3) 빅데이터 분석 및 플랫폼 구축
(4)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5) 증강현실(AR)·가상 패션(Virtual Fashion)
3) E-Commerce 시장 이슈 및 현황
(1) 시장규모
(2) 유통채널 변화
(3) 디지털 통합 커머스(unified commerce)로의 확장
(4) 국내 패션 온라인 유통 관련 직무구조
2. 글로벌 스마트 섬유제조장비 기술개발 동향
1) 섬유제조장비
2) 최신기술 동향
(1) 방사 및 방적기 분야 스마트화 기술 동향
(2) 제직/편성기 분야 스마트화 기술 동향
(3) 염색 및 가공기 분야 스마트화 기술 동향
(4) 봉제 및 부직포기 분야 스마트화 기술 동향
가. 봉제 자동화/스마트화
나. 재단기 자동화/스마트화
다. 부직포기 스마트화
(5) 최신 자동화 기술
가. 니트분야의 의류 및 신발 자동화기술
나. 스마트웨어 분야의 자동화기술
3) 기술개발 발전방향

제 4장 안전·보호섬유 주요동향
-국방/방역/유해물차단/항균-

1. 국방 첨단·슈퍼 섬유 개발동향
1) 국방섬유 소재산업 육성사업
(1) 기술 개발
(2) 기반 구축
2) 국방/방호 슈퍼섬유 연구개발 동향
(1) 슈퍼섬유
(2) 슈퍼섬유의 종류
(3) 국내외 주요 슈퍼섬유 시장 동향
(4) 장갑(Armor) 소재기술
가. 국내 연구동향
나. 해외 연구동향
다. 국내외 선도 연구기관
라. 산업 및 시장 동향
A)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B) 국내 기업 현황
C) 해외 시장규모 및 전망
D) 해외 기업 현황
마. 국내외 선도기업
(5) 미래형 방탄복 소재기술
가. 국내 연구동향
나. 해외 연구동향
다. 국내외 선도 연구기관
라. 산업 및 시장 동향
A) 국내·해외 시장규모 및 전망
B) 국내 기업 현황
C) 해외 기업 현황
마. 국내외 선도기업
바. 미래의 연구방향
(6) 적외선 메타물질 흡수체를 이용한 적외선 스텔스 소재기술
가. 국내 연구동향
나. 해외 연구동향
A) 미국
B) 중국
다. 국내외 선도 연구기관
라. 산업 및 시장 동향
A) 국내 동향
B) 해외 동향
2. 안전보호 섬유소재 개발동향
1) K-방역 부직포 산업동향
(1) 국내 부직포산업 현황
(2) 부직포산업의 위상과 연관 산업 파급효과
가. 섬유산업에서의 위상
나. 부가가치 및 고용창출 능력
다. 연관 산업 파급효과
(3) 생산 및 수출입 현황
가. 생산과 부가가치
나. 수출입
다. 수출입 국제비교
(4) 국내 부직포산업의 구조적 문제점
가. 높은 인력의존도 속 낮은 수익성
나. 낮은 R&D 집약도로 기술혁신역량 제고 한계
다. 생산설비 노후화에 따른 설비경쟁력 약화
라. Nut-cracker 상황 직면
2) 부직포 필터 기술동향
(1) Nonwoven 제조기술 현황
가. Nonwoven 제조기술
A) 멜트블로운(Meltblown)
B) 스펀본드(Spunbond)
C) 스펀본드(spunbond) - 멜트블로운(meltblown)
D) Wet - laid
E) 나노파이버(Nanofiber)
F) 습식 부직포
G) 화학적 결합 부직포
H) 열 결합 부직포
I) 수류 결합 부직포
j) 니들펀칭 부직포
K) 스티치 본드 부직포
나. 부직포의 주요 특성과 사용용도
다. 필터 소재로서의 부직포
(2) Filtration(여과) 성능 평가
가. 에어필터유닛(Air Filter Unit)의 분류 및 종류
나. 환기 및 공조용 필터 및 성능 평가
A) ASHRAE 52.2
B) EN 779
C) ISO 16890
D) EN 1822과 ISO 29463
다. 마스크 분류 및 성능평가
A) 한국의 호흡용 보호구(방진 마스크, 보건용 마스크)
B) 미국과 유럽의 호흡용 보호구 (N95, FFP2 마스크)
C) 의료용 마스크(Medical face masks)
3) 방역용 섬유제품 기술동향
(1) 방역용 보호복 기술동향
(2) 방역용 마스크 기술동향
4) 유해인자 차단 섬유 주요동향
(1) 정의
(2) 필요성
(3)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4)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A) 바이러스 차단 소재
B) 미세먼지 제거 소재
나. 시장 분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5) 기술 개발 동향
가. 기술 개발 트렌드
나. 생태계 기술 동향
A) 해외 업체 동향
B) 국내 업체 동향
다. 국내 기관 기술개발 동향
(6)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주요 출원인 분석
3. 항균·항바이러스 섬유 기술개발 동향
1) 개발 배경
2) 항균 섬유 기술개발 동향
(1) 4급 암모늄 염
가. ODDMAC 이용한 항균성 및 발수성 동시 발현이 가능한 기능성 PET 섬유
A) 시료 및 시약
B) 실험 방법
C) ODDMAC의 고착 특성 분석
D) 세탁견뢰도 측정 및 결과
E) 항균테스트 측정 및 결과
나. 군사목적의 유해화학물질 제거용 보호복 소재 섬유 후가공 처리
A) 시료 및 재료
B) 나노촉매물질과 항균제의 섬유 후가공처리 및 처리결과
C) 나노촉매물질 처리 원단의 유해화학물질 제거 성능 분석 및 결과
D) 항균처리된 원단의 항균성 검증 및 처리결과
E) 후가공처리 원단의 세탁내구성 분석
(2) 키토산
(3) 금속과 금속염
(4) 광촉매
(5) N-Halamine계 항균 섬유
3) 섬유소재 항바이러스 기능의 가공기술과 응용
(1) 섬유 소재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능 가공
가. Etak 가공섬유의 항균성
나. 섬유제품의 항바이러스 평가방법의 개발
다. Etak 가공섬유의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
(2) 부직포 등에 대한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의 부여와 가공기술
가. 가공 방법
A) 후가공에 의한 방법
B) 첨가에 의한 방법
나. 가공제
A) 항균, 방취 및 제균가공제
B) 기능성 부직포의 가공 예
다. 항바이러스 가공의 현황
(3) 제올라이트 고밀도 결정화 펄프 항균, 항바이러스 섬유
가. 제올라이트 고밀도 결정화 펄프의 기본 특성
A) 제올라이트 고밀도 결정화 펄프의 제조 방법
B) 제올라이트 고밀도 결정화 펄프의 물성
C) 제올라이트 고밀도 결정화 펄프의 항균 금속 이온 담지 방법
나. 제올라이트 고밀도 결정화 펄프의 미래
A) 형광 발광 특성
B) 수용성 방사능 물질 흡착 섬유

제 5장 바이오 융합섬유 개발동향
-의료/코스메틱 섬유-

1. 바이오/메디컬 섬유개발 주요동향
1) 바이오 융합 섬유 주요동향
(1) 바이오 융합 섬유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필요성
다. 범위 및 분류
A) 기술별 분류
B) 가치사슬 및 용도별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나. 시장 분석
A) 해외
B) 국내
(3) 기술 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이슈
A) 만성 창상치료용 섬유제품 기술
B) 조직재생용 섬유제품 기술
C) 흡수성 지혈용 섬유 제품 기술
D) 유착방지 및 차폐용 섬유 소재 및 제품 기술
E) 인체 친화적 위생소재 및 제품
F) 감염방지 기능 섬유소재 및 제품
G) 피부질환 개선용 스킨케어 섬유 제품
H) 피부 부착용 코스메틱 섬유 제품
나. 생태계 기술 동향
A) 해외 업체 동향
B) 국내 업체 동향
(4) 국내 바이오 융합 섬유 연구동향
가. DGIST, 고탄성 전기 섬유
나. 혈액응고인자 함유한 생체흡수성 폴리비닐피롤리돈 나노섬유시트 지혈제 개발
A) PVP-CaCl₂-thrombin 방사용액 및 나노섬유의 제조
B) 나노섬유의 미세구조 및 직경분석
C) In Vitro 전혈 응고실험(Lee-White Method, Imai-Nose Method)
D) 적혈구 용혈 실험
E) 혈소판 점착능 평가
F) PVP-CaCl₂-thrombin 나노섬유의 세포독성 평가
G) SD Rat을 이용한 In Vivo 실험
H) 통계 분석
I) PVP-CaCl₂-thrombin 나노섬유의 형태 관찰
J)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 분석
K) PVP-CaCl₂-thrombin 나노섬유의 In Vitro 혈액응고 실험
L) 적혈구 용혈실험
M) 칼슘 재첨가 실험
N) 혈소판 점착능 평가
O) PVP-CaCl₂-thrombin 나노섬유의 세포독성평가
P) SD Rat을 이용한 In Vivo 동물시험
Q) 조직학적 관찰
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분해성 메디컬 섬유 상용화 기술개발
(5) 바이오 융합 섬유 기술 분야 특허동향 분석
가. 주요 기술
나. 주요 기술별 국적별 특허동향
다. 주요 기술별 출원인 특허동향
라.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2. 코스메틱 섬유 개발동향
1) 코스메토텍스타일(cosmetotextile)/ 더모텍스타일(dermotextile)
(1) 마이크로캡슐과 제조업체
가. 제조 공정
나. 제조 업체
(2) 원사제품 동향
(3) 효과별 코스메토텍스타일 제품동향
가. 피부 깊숙이 스며드는 효과
나. 해양 성분
다. 비타민과 향기 첨가
라. 금속의 보호 효과
마. 쿨링 기능
(4) 국내 코스메틱섬유 개발 최신동향
가. DYETEC 연구원
나. 메디위너
2) 마스크팩 시트 소재
(1) 마스크팩 시트 소재시장
(2) 국내 마스크팩 시트 원단/가공 업체
(3) 마스크팩 시트 소재 다양화
가. 리오셀
나. 큐프라
다. 극세사
라. 하이드로겔/바이오 소재
마. 기능성·친환경 소재
바. 코스메틱용 부직포 지속 가능성 소재
(4) 얼굴 피지 흡유 가능한 시트 마스크 원단 제조방법 기술
3) 피부 표면에서의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의 특성에 대한 연구
(1) 실험 재료 및 방법
가. 실험 재료
나.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산화반응
다. TC의 물성 분석
라. TC의 피부 표면에서의 특성 분석
(2) 결과 및 고찰
가. TC의 특성 분석
나. 피부 표면에서의 TC의 피부 안착성
다. 피부 표면에서의 TC의 경도 특성
라. 피부 표면에서의 TC의 수분흡수능
4) 약물 투여 및 전달 섬유/고분자 소재
(1) 약물 투여 스마트 섬유 연구
(2) 약물전달시스템의 기술개발 현황과 나노셀룰로오스의 응용
가. 약물전달시스템
나.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다. 디바이스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A) 반도체 칩을 이용한 약물전달 디바이스
B) 나노 기공막을 이용한 약물전달 디바이스
C)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을 이용한 패치제형
라.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

제 6장 HCI 융합섬유 주요동향
-ICT융합/스마트 섬유-

1. HCI 융합/스마트 섬유 산업동향
1) Human Computer Interaction(HCI) 융합섬유
2) 스마트 섬유
(1) 정의 및 분류
(2) 스마트 섬유 산업
(3) 스마트섬유 시장현황
가. 세계 시장현황
나. 국내 시장현황
다. 시장 형태
(4) 스마트 섬유 주요기업 분석
가. 해외 주요업체 현황
나. 국내 주요업체 현황
2. E-Textile의 유형에 따른 패션 사례분석
1) E-Textile
(1) 개념
(2) 패션텍스타일로서의 E-Textile
2) E-Textile의 사례 및 유형분석
(1) 구성 유형에 따른 E-Textile 분석
가. 직물조직(Textile Structure)
A) 직조(weaving)를 활용한 사례
B) 니팅(Knitting)을 활용한 사례
나. 표면처리(Surface Treatments)
A) 프린팅(printing)을 활용한 사례
B) 자수(embroidery), 스티치(Stitch)를 활용한 사례
C) 장식물, 외부 장치/보조물 등을 부착한 사례
다. 의복 디테일(Garment Detail)과 입체구조
(2) 재현 유형에 따른 E-Textile 분석
3. 국내외 HCI 융합섬유 기술 현황
1) 감성 공학 섬유 기술
(1) 자율응답 쾌적 섬유
(2) 천연 감성 섬유
가. 접촉 냉감 및 흡수 냉감을 갖는 기능성 냉감 직물 개발
A) 연구 배경
B) 실험 시료
C) 복합직물의 표면특성 및 구조적 특성
D) 복합직물의 접촉 냉감 특성
E) 복합직물의 흡수 냉감 특성
(3) 스마트 섬유
(4) 사용자 중심의 직물 기반 센서 개발
2) 전도성 섬유 기술
(1) 전기전도성 섬유
가. 전도성 섬유·직물
A) 원사
B) 전도사 제·편직물
C) 가공
나. 전도성 섬유 기술개발 현황
다. 전도성 섬유의 주요 응용 분야
라. 전도성 섬유의 응용 사례
(2) 이온전도성 섬유
(3) Techtextil 2019 전시회 및 전자기능 섬유제조 설비
(4) 전자 섬유 적용을 위한 전도성 유연 섬유 전극의 제작
가. 전도성 소재의 표면 코팅을 통한 전도성 유연 섬유 전극의 제작
나. 방적 기법을 활용한 전도성 유연 섬유 전극의 제작
다. 화학적 환원 기법을 이용한 전도성 유연 섬유 전극의 제작
(5) PEDOT:PSS로 코팅된 PLA 나노섬유 웹의 전기전도성 텍스타일 제조
가. 재료 및 시료제조
A) 재료
B) 시료 제조
나. PEDOT:PSS 처리 양에 다른 표면 분석 및 두께 측정
A) 표면 특성 분석 및 두께 측정
B) PEDOT:PSS 처리 양에 다른 표면 분석 및 두께 측정결과
다. PEDOT:PSS 처리 양에 따른 FT-IR 분석
A) FT-IR 분석
B) PEDOT:PSS 처리 양에 따른 FT-IR 분석 결과
라. PEDOT:PSS 처리 양에 따른 전기적 특성 분석
A) 전기적 특성 측정
B) PEDOT:PSS 처리 양에 따른 전기적 특성 분석 결과
마. 굽힘 각도에 대한 전기적 특성 분석
바. 결론
(6) 높은 기계적/전기적 특성을 갖는 CNT-Ni-Fabric 유연기판 연구
가. 연구 배경
나. 실험 방법
A) Ni-CNT-Fabric 유연기판 제조
B) Ni-CNT-Fabric 유연기판 특성 분석
다. 결과 및 토론
라. 결론
3) 압전 기반 HCI 융합섬유 기술
(1) 해외 연구동향
(2) 국내 연구동향
(3) 에너지 변환 소재용 플렉서블 압전 나노섬유 개발동향
가. 연구 배경
나. 나노섬유
A)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 제조 원리
B) 전기방사 공정 변수
다. 압전 나노섬유
A) 압전 고분자 나노섬유
B) 압전 세라믹 나노섬유
C) 압전 세라믹/고분자 복합 나노섬유
라. 압전 나노섬유 기반 플렉서블 압전 에너지 변환 모듈
마. 압전 나노섬유 기반 플렉서블 압전 에너지 변환 모듈의 활용
4) 스마트 텍스타일 센서 HCI 융합섬유 기술
(1) 습도 감응 섬유
(2) 온도 감응 섬유
가. 국내 연구 동향
나. 해외 연구 동향
(3) 기계적 변화량 감응 섬유
(4) 화학 물질 감응 섬유
(5) 감광, 디스플레이 섬유
가. 국내 연구 동향
나. 해외 연구 동향
(6) 발광 기능을 갖춘 직물
가. 광섬유 직물
나. 발광다이오드(LED) 부착 직물
(7) 기타
5) 발열 기능 HCI 융합섬유 기술
(1) 광발열 섬유
(2) 흡습 발열 섬유
(3) 전열 섬유
4. 융합섬유 및 소재 관련 특허분석
1) ICT 융합 섬유 특허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2) 섬유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유연소재 및 플랫폼개발 특허분석
(1) 섬유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
가. 전도사 기반 섬유의 개발동향
나. 인체 부착/섬유 부착 패치의 개발동향
다. 서비스 플랫폼 기술의 개발동향
(2)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
가. 주요 국가별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나. 주요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동향
(3) 세부기술별 특허출원 동향
(4) 주요출원인 동향분석
가. 주요 출원인 현황
나. 주요 출원인 출원분포

제 7장 고강력·고탄성·고성능 화학산업용 섬유기술

1. 국내외 산업용 섬유산업 현황 및 활용
1) 세계 산업용 섬유수출 현황과 수요전망
(1) 세계 산업용 섬유수출 현황
(2) 세계 산업용 섬유시장 전망
2) 국내 산업용 섬유산업 현황
(1) 내수시장 현황과 전망
(2) 생산 현황
가. 분야별 생산
나. 고성능 섬유 생산
(3) 수출입 현황
가. 수출
나. 수출 국제 비교
다. 수입
라. 수입 국제 비교
3) 산업용 섬유 용도별 현황 및 활용전망
(1) 수송 분야
가. 국내 현황
나. 국외 현황
(2) 환경(에너지)·공업용 분야
(3) 토목·건축 분야
(4) 농업 분야
(5) 의료 분야
(6) 스포츠용 분야
(7) 기타 분야
2. 탄소섬유 소재산업 주요동향
1) 탄소섬유 기술개발 동향
(1) 탄소섬유 소재의 기술개발 동향
(2) 저가 탄소섬유 기술개발 동향
(3) 고성능 탄소섬유 기술개발 동향
2) 탄소섬유 강화소재 연구동향
(1) 탄소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의 발전 방향과 연구 동향
가. 탄소섬유 보강재
나. 고분자 수지 기지재
다. 제조 공정
(2) 탄소강화 탄소나노튜브 섬유 복합소재 연구 동향
가. CNTF/Polyacrylonitrile(PAN)
나. CNTF/Polydopamine(PDA)
A) PDA 합성
B) CNTF/PDA
C) CNTF/PDA/C
다. CNTF/Resorcinol-Formaldehyde(RF)
라. CNTF/Chemical Vapor Infiltration(CVI)
3) 탄소섬유 주요 기업 동향
(1) 해외 주요업체
가. 일본- Toray사
나. 독일- SGL 그룹
다. 일본-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사
라. 일본- Toho Tenax
마. 미국- Hexcel사
바. 중국
(2) 국내 주요업체
가. 도레이 첨단소재
나. 효성첨단소재
다. SK케미칼
라. 한국카본
마. 태광산업
3. 고성능 슈퍼섬유 주요동향
1) 아라미드 섬유
(1) 개요
(2) 주요 제조사별 개발 현황
가. 파라계 아라미드
나. 메타계 아라미드
(3) 국내시장 현황 및 기술수준
(4)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5) 활용 분야
가. 파라계 아라미드
나. 메타계 아라미드
2)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1) 개요
(2) 개발 현황
(3) 국내외 시장현황
(4) 특성 및 활용 분야
3) PPS(Polyphenylene sulfide) 섬유
(1) 개요
(2) 개발 현황
(3) 국내외 시장현황
(4) 특성 및 활용 분야
4) 불소 섬유(PTFE, Poly tetrafluoro ethylene)
(1) 개요
(2) 개발 현황
(3) 국내외 시장현황
(4) 특성 및 활용 분야
5) PBO(Poly phenylene-benzobisoxazole) 섬유
(1) 개요
(2) 개발 현황
(3) 국내외 시장현황
(4) 특성 및 활용 분야
6)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1) 개요
(2) 개발 현황
(3) 국내외 시장현황
(4) 특성 및 활용 분야
7) 고성능 섬유 특허 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4. 다양한 특성을 활용한 복합섬유 연구동향
1) 난연성 PAN 복합소재 제조 연구동향
(1) Polyacrylonitrile(PAN)
가. Oxidized PAN
나. Post-treatment of PAN
(2) PAN composites
가. PAN-PVA composites
나. PAN-SiO₂ composites
다. 2D materials-PAN composites
라. CNT-PAN composites
2) 신축성과 전기전도성을 갖는 복합섬유 제조
(1) 폴리우레탄 기반 복합 섬유 제조배경
(2) 전도성 복합 섬유 제작
(3) 복합 섬유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 측정
(4) 실험 결과 및 논의
3) 기능성 코팅섬유 연구동향
(1) 기능성 코팅섬유
(2) 기능성 코팅섬유 기술범위
가. 나노 코팅(Nano Coating)
나. 고기능 박막 코팅
다. 기능성 코팅 라미네이팅 공정기술
라. 친환경 코팅가공 기술
마. 에너지 절감형 코팅가공 기술
바. 코팅, 라미네이팅 설비
(3) 시장 현황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4) 주요 기업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5) 유리섬유 코팅재 흡음재 개발연구
가. 금속 증착
나. 증착 증상
A) 전자현미경 해석
B) 유리섬유
C) 구리 코팅 유리섬유
D) 티타늄 코팅 유리섬유
다. 결론
(6) 방사선 차폐시트의 적층 구조와 섬유 코팅의 인장강도 영향
가. 연구 방법
나. 결과
다. 고찰
(7) 기능성 코팅섬유 특허동향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주요 출원인 분석
5. 나노섬유 주요동향
1) 핵심기술 및 개발동향
(1)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 제조공정
(2) 나노섬유 필터 마스크 출시 확대
(3) 고분자 나노섬유의 적용 확대
2) 발전 방향 및 개발 트렌드
(1) 전기방사를 통한 탄소나노섬유 대량생산화 기대
(2) 다양한 소재의 나노섬유와 새로운 공정 개발
3) 나노섬유 산업 동향
(1) 산업트렌드 및 성장 전망
(2) 국내외 시장규모
가. 세계
나. 국내
4) 주요 기업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가. Ahlstrome-Munksjo
나. Asahi Kasei
다. Toray
라. Espin Technologies
(2) 국내 업체 동향
가. 아모그린텍
나. 웰크론
다. 톱텍
라. 레몬
마. 나노캠텍

책 속으로


섬유산업은 소비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의류생산이 20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국제교역이 정체하면서 섬유패션산업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2026년까지 총사업비 1조 4000억원을 투자, 3만 6000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을 마련하였다.

첫째, 정부는 섬유산업을 환경 친화적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친환경 섬유소재 개발을 추진한다. 국내 재생섬유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분리수거 환경이 확대되며 PET병을 재활용하여 만든 폐의류를 넘어 고품질의 의류를 생산하는 화학적 재활용으로 영역이 확장될 것이다.

둘째, 염색업종을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친환경 그린산업으로 전환한다. 폐수·대기오염 방지 등 환경개선을 위한 업체별 진단 컨설팅, 친환경 염색가공 및 환경오염시설 설비 전환 등 공정상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반조성을 지원한다.

셋째, 섬유패션산업 분야에서도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을 이루어 나간다.
섬유소재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디지털·언택트로 전환 중인 패션산업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혁신 기반을 조성한다. 또한 섬유공정에 로봇을 도입하여 스피드·스마트한 생산 환경을 만들고 체계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해지고 있다.

넷째, ‘Made in Korea’ 프리미엄을 활용한 방역, 안전 분야의 수출 유망품목 ‘소재개발-제품제조-성능평가-인증’ 생태계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핵심 수요산업에 요구되는 극한성능 유기섬유, 탄소섬유 복합재 등 첨단 산업소재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자립화도 추진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섬유제품의 이용을 확대하고 원사·제직·가공 등 스트림 간 협력을 통한 가치사슬을 확장하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확대함으로써 섬유기업의 고부가가치 향상을 촉진하고자 「섬유·패션산업 디지털 뉴딜 R&D분석 -친환경/안전/바이오/스마트/고기능성」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섬유산업의 최신 이슈와 지속가능한 친환경 섬유개발, 그린가공 기술, 섬유패션산업 디지털전환 현황, 안전/보호섬유 개발, 바이오융합섬유 개발, HCI 융합(스마트) 섬유개발, 고성능 화학·산업 섬유개발 등 주요동향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1. 03. 


출판사 서평

[특징]

섬유산업은 소비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의류생산이 20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국제교역이 정체하면서 섬유패션산업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2026년까지 총사업비 1조 4000억원을 투자, 3만 6000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을 마련하였다.

첫째, 정부는 섬유산업을 환경 친화적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친환경 섬유소재 개발을 추진한다. 국내 재생섬유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분리수거 환경이 확대되며 PET병을 재활용하여 만든 폐의류를 넘어 고품질의 의류를 생산하는 화학적 재활용으로 영역이 확장될 것이다.

둘째, 염색업종을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친환경 그린산업으로 전환한다. 폐수·대기오염 방지 등 환경개선을 위한 업체별 진단 컨설팅, 친환경 염색가공 및 환경오염시설 설비 전환 등 공정상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반조성을 지원한다.

셋째, 섬유패션산업 분야에서도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을 이루어 나간다.
섬유소재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디지털·언택트로 전환 중인 패션산업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혁신 기반을 조성한다. 또한 섬유공정에 로봇을 도입하여 스피드·스마트한 생산 환경을 만들고 체계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해지고 있다.

넷째, ‘Made in Korea’ 프리미엄을 활용한 방역, 안전 분야의 수출 유망품목 ‘소재개발-제품제조-성능평가-인증’ 생태계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핵심 수요산업에 요구되는 극한성능 유기섬유, 탄소섬유 복합재 등 첨단 산업소재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자립화도 추진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섬유제품의 이용을 확대하고 원사·제직·가공 등 스트림 간 협력을 통한 가치사슬을 확장하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확대함으로써 섬유기업의 고부가가치 향상을 촉진하고자 「섬유·패션산업 디지털 뉴딜 R&D분석 -친환경/안전/바이오/스마트/고기능성」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섬유산업의 최신 이슈와 지속가능한 친환경 섬유개발, 그린가공 기술, 섬유패션산업 디지털전환 현황, 안전/보호섬유 개발, 바이오융합섬유 개발, HCI 융합(스마트) 섬유개발, 고성능 화학·산업 섬유개발 등 주요동향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2021. 03